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석 없는 프랑스 대선후보 마크롱-르펜, 누가 돼도 국정운영 '난관'

의석 없는 프랑스 대선후보 마크롱-르펜, 누가 돼도 국정운영 '난관'
다음 달 7일 치러지는 프랑스 대선 결선에서 중도신당 '앙마르슈'의 에마뉘엘 마크롱 후보와 극우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 후보 둘 가운데 누가 당선되더라도 국정운영에 난관이 예상된다고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프랑스 의회 전체 925석 가운데 마크롱이 창당한 앙마르슈와 르펜이 이끄는 국민전선이 확보한 의석수는 다 합쳐 3석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누가 대통령이 되든지 법안 하나를 통과시키더라도 다른 정당 의원들의 지지를 얻어야만 가능한 상황입니다.

정치계 '아웃 사이더'인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 뒤 의회 내 '아군' 부족으로 정책 추진과 인사 기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 프랑스에서도 벌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특히, 지난해 앙마르슈를 창당해, 의석이 한 석도 없는 등 정치 기반이 취약한 마크롱이 당선된다면, 국정 운영에 있어 더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진단했습니다.

현재는 르펜의 대통령 당선을 저지하기 위해 1차 투표에서 떨어진 후보들이 의기투합해 마크롱을 측면 지원하고 있지만, 이런 연대가 언제까지 지속할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마크롱이 권력을 쥔 뒤 프랑스 국민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면 르펜 측 목소리가 더욱 커지는 상황도 예견됩니다.

두 후보 모두 하원 의석 577석이 걸린 6월 총선에서 총력을 다해 가능한 한 많은 의석수를 확보한다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마크롱 대변인은 이미 총선 출마 희망자 3만 명의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밝혔습니다.

마크롱은 또, 이런 민심을 감안해 총선에 내세울 후보 절반을 정치 신예로 채우겠다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절반은 정치계에서 공천해 좌우 이념을 모두 반영하겠다는 이상적인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러나 1차 투표에서 가장 높은 득점을 기록한 마크롱 득표율은 24%로, 1965년 이래 3번째로 낮은 수치라는 점에서 이를 자신할 수만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투자은행 출신으로, 지난해 8월까지 경제 장관을 역임한 마크롱은 한 번도 선출직 공무 직을 수행한 적이 없다는 점도 약점입니다.

르펜 측도 총선을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국민전선은 현 선거 체제의 높은 장벽을 넘는 데 고전하며 2012년 총선에서도 한자릿 수 의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