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LA 폭동 25주년' 조명 잇따라…"인종 갈등 현재 진행형"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흑인 폭동' 발발 25주년을 맞아, LA의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는 미국 현지 언론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1992년 4월 29일부터 5월 4일까지 발생한 LA 폭동 사태의 직접적 도화선은 백인 경찰 4명이 '로드니 킹'을 구타 사건이었습니다.

재판에서 이들 경찰관 4명이 무죄 선고를 받자, 격분한 흑인들의 시위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진 것입니다.

폭동이 남긴 피해는 참혹해, 무고한 시민 53명이 숨지고, 수천 명이 다쳤습니다.

재산피해액만 최소 10억 달러, 우리 돈 1조 천295억 원에 달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한국인과 흑인 공동체 간 갈등은 극에 달했습니다.

당시 미국 언론은 로드니 킹 구타 사건보다 '두순자 사건'을 집중 내보내면서 폭동을 한-흑 갈등으로 몰아갔습니다.

두순자 사건은 로드니 킹 구타 사건이 발생하기 한해 전인 1991년 비슷한 시점에 흑인 밀집지역인 캠튼에서 한인마켓을 운영하던 두씨가 매장에서 물건을 수차례 훔친 흑인 소녀과 다투다 살해한 사건입니다.

LA 폭동 이후 25년이 지났지만, 인종갈등 불씨는 꺼지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 미주리 주 퍼거슨과 2015년 볼티모어에서 발생한 흑인 소요사태 등에서 보듯 인종 간 갈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페르난도 구에라 로욜라 메리몬트대 정치학 교수는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LA의 과거와 현재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진단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중남미 출신 정치인이 큰 폭으로 늘어났지만, 여전히 백인 주류가 LA 정치권을 좌지우지하고 있으며, 한국계 정치인은 여전히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경제적으로는 25년 전보다 사정이 더 나빠졌습니다.

경제 침체로 중산층이 위축되면서 빈부 격차는 현격히 커졌습니다.

흑인 밀집지역인 LA 남부에서 지역개발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실업률도 줄지 않고 있습니다.

LA 지역에 노숙자가 최근 급증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입니다.

현재 LA 카운티 노숙자 수는 4만 7천여 명이며, LA 시에는 2만 6천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처럼 상황 변화는 없지만, 과거처럼 대규모 폭동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당히 줄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이는 LA에 거주하는 청년층들 사이에서 인종 장벽보다는 지역사회에 소속감을 느끼는 '앤젤리노 정체성'이 두터워졌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 운동이 전국적인 이슈가 되고 있지만, 흑인 소요 사태가 미디어와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노출되면서 오히려 이에 둔감해지는 역설적 상황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정치분석가인 얼 오파리 허친슨은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LA는 25년 전이나 25년 뒤나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