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 공문서에도 日 "직접증거 아냐" 발뺌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 공문서에도 日 "직접증거 아냐" 발뺌
▲ 사진은 이날 공개된 '바타비아(자카르타의 옛 명칭)재판 25호 사건' 문서. 일본해군의 인도네시아 특별경찰대 전 대장이 전후 일본 법무성 관계자에 "200명 정도의 부녀(婦女)를 위안부로서 오쿠야마(奧山)부대의 명에 의해 발리섬에 데리고 들어갔다"고 말한 증언이 담겨 있다. 

일본군이 인도네시아에 위안부를 끌고 가 난폭하게 협박했다는 공문서가 공개됐음에도, 일본 정부는 "위안부 강제동원의 직접 증거가 아니다"라는 공식 입장을 내놓으며 발뺌했습니다.

하기우다 고이치 관방 부장관은 오늘(19일) 브리핑에서 지난 17일 언론을 통해 공개된 태평양 전쟁 뒤 일본 정부의 재판 기록과 관련해 "해당 자료가 위안부 모집에 대해 군이 조직적으로 강제연행했다는 것을 직접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해당 자료를 포함해 지금까지 일본 정부가 발견한 자료 중에는 군과 정부·관청에 의한 강제연행을 직접 보여주는 기술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국립공문서관과 법무성은 일본군이 위안부 강제연행에 개입했다는 것이 드러나는 내용을 포함한 공문서 19건, 182점을 지난 2월 일본 정부 내각관방에 제출했습니다.

자료 가운데는 자카르타의 옛 명칭인 '바타비아 재판 25호 사건'란 게 있으며, 여기엔 "오쿠야마 부대의 명령에 따라 200명 정도의 부녀를 위안부로 발리 섬에 데리고 들어갔다"는 일본 해군의 인도네시아 특별경찰대 전 대장의 증언이, 또, 인도네시아의 옛 지명은 '폰차낙 재판 13호 사건'의 판결문에는 "다수의 부녀가 난폭한 수단으로 위협당했고 강요당했다"는 내용이 각각 포함됐습니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이번에 공개된 자료에 대한 상세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선, "개개 사안의 사실관계를 포함해 당시의 상황에 관해서는 자료에 기재된 것 이상으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검증을 상세하게 실시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그는 강제연행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에 대해서도 "정부가 충분히 검증했지만, 강제연행임을 보여주는 기술은 발견하지 못했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강제 동원 지적에 대해 줄곧 "증거가 없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도리어 한국측에 한일 위안부 합의를 지킬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지난 2월 미국 CNN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방송과 관련해 "군이나 관헌에 의한 이른바 강제연행을 직접 보여주는 듯한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한일 합의가 성립됐으므로 그 합의에 기초해 양국 정부가 성실하게 실행해 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