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日, 퇴직 공무원에 '선배증' 발급?…낙하산 논란에 뒤늦게 없애

일본 문부과학성이 퇴직자에게 '선배증(先輩症)'이라는 독특한 신분증을 발급했다가 논란이 일자 이를 발급하지 않기로 했다.

19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문부과학성은 지난 2000년부터 퇴직자 중 희망자에게 이 부처 출신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선배증'을 발급했다.

선배증에는 이름과 함께 문부과학성 근무 당시 속했던 부서의 이름과 함께 '문부과학성에 들어올 때 편리합니다'라고 적혀 있다.

문부과학성은 퇴직 시 국립대학이나 부처 내 독립행정법인 등에 근무한 경우를 포함해 모두 1천명에게 선배증을 발행했다.

선배증을 가진 사람은 별도의 신분 확인 절차 없이 자유롭게 문부과학성을 드나들 수 있어서, 퇴직 후 자신이 근무하는 민간 업체 혹은 기관과 문부과학성 사이에 불·편법적인 알선 행위를 할 가능성이 적지 않았다.

일본의 정부 부처 중 '선배증'을 발급한 경우는 문부과학성 뿐이다.

세계적으로 공무원에게 퇴직자임을 증명하는 신분증을 발급하는 경우 역시 흔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부과학성이 선배증의 발급을 없애기로 한 것은 이 부처가 조직적으로 낙하산 취업을 알선한 사실이 드러나는 등 퇴직자와의 유착 관계가 문제가 됐기 때문이다.

문부과학성은 지난 1월 퇴직 간부에게 알선 중개역을 맡겨 퇴직자를 와세다(早稻田)대 교수 등으로 취직시킨 사실이 드러나며 비판을 받았다.

이후 정부 차원의 조사에서는 이 사례를 포함해 모두 62건의 불법 사례가 무더기로 확인됐다.

문부과학성은 낙하산 알선 문제를 다루는 정부 차원의 전문가 위원회에 선배증을 지난달 말 없앴다고 보고하며 퇴직자도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방문 부서의 허가를 얻은 뒤 출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