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 미사일 실패' 美 사이버전 통했나…"실패율 비정상 높아"

'北 미사일 실패' 美 사이버전 통했나…"실패율 비정상 높아"
어제(16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또 실패하자,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지시했던 '사이버전 프로그램'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13년 당시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막기 위해 도입한 '레프트 오브 론치', 발사 직전 교란 작전이 효과를 발휘하는 게 아니냐는 것입니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실패가 발사 직후 폭발한 일련의 북한 미사일 실험 가운데 하나라고 소개하면서 폭발 원인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북한은 지난 5일에도, 신포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지만, 60여㎞를 비행하다가 동해 추락했으며, 지난 3월 22일 원산 일대에서 발사한 탄도미사일 1발도 불과 몇 초 만에 공중 폭발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3년간 북한과 미국 사이에 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한 은밀한 전쟁이 진행됐다면서, 오바마 전 대통령의 '레프트 오브 론치'를 거론했습니다.

레프트 오브 론치는 미사일 발사를 '준비→발사→상승' 단계로 나눌 때, '발사'보다 왼쪽에 있는 '준비' 단계에서 악성코드나 전자기파 공격으로 시스템을 교란하는 작전입니다.

미국은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에 '레프트 오브 론치' 프로그램을 공개했습니다.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도 발사 직후 곧바로 폭발한 것으로 파악돼, '레프트 오브 론치'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추측을 낳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작전이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북한의 미사일이 발사 직후 폭발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이 작전과 연관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는 있지만, 북한 미사일 실패의 원인이 기술적인 결함인지, 이 작전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작용했는지를 알기는 어렵습니다.

뉴욕타임스는 북한 미사일 발사 실험 실패가 미국의 작전 때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이 작전이 시작된 이후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패 확률이 "비정상적으로 높다"고 밝혀 여운을 남겼습니다.

말콤 리프킨드 전 영국 외무장관도 BBC에 "미국의 사이버 기술이 성공적으로 작동하면서 북한의 몇 차례 미사일 발사 실패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매우 강한 믿음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공화당의 거물인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은 NBC방송에 출연해 "나는 그렇게 사이버 교란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다만, 그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캐슬린 T.맥팔런드 국가안보회의 NSC 부보좌관은 폭스뉴스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노 코멘트"라며 답변을 꺼렸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