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득 낮을수록 담배 더 피운다…'흡연 불평등' 만연

소득 낮을수록 담배 더 피운다…'흡연 불평등' 만연
국내 시·군·구 자치단체 중 소득수준에 따른 '흡연 불평등'이 가장 큰 지역은 남성에게는 경북 울진군, 여성에게는 경기도 동두천시라는 분석이 나왔다고 연합뉴스가 소개했습니다.

흡연 불평등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더 흡연하는 경향을 보여 결국 각종 질환과 사망에 이르는 위험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이런 흡연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소득수준 간 흡연율 격차를 줄이는 내용의 건강증진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과 강영호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년에 걸쳐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59만4천873명(남성 45.4%, 여성 54.6%)을 대상으로 전국 245개 시·군·구별 소득수준에 대비한 남녀 누적 흡연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예방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발표됐습니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자를 지역별 소득수준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눠 각 흡연율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율은 높아지는 역진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역진 구조는 전체 245개 시·군·구 중 남성의 경우 236곳(96.3%), 여성의 경우 239곳(97.5%)에서 확인됐습니다.

특히 245개 지역 중 상위 소득 20%의 흡연율이 하위 소득 20%보다 높은 지역은 한 곳도 없었습니다.

그만큼 소득수준에 따른 '흡연 불평등'이 전국적 현상임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남성 흡연율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최상위(상위 20%) 소득군에서 24.6%로 가장 낮았으며, 강원도 태백시의 최하위(하위 20%) 소득군에서는 59.8%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는 정부가 2015년 기준으로 발표한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남성 흡연율 39.3%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나는 수치입니다.

여성 흡연율은 전남 장성군 최상위 소득군에서 0.2%로 가장 낮았으며, 경기도 동두천시 최하위 소득군에서는 13%로 가장 높았습니다.

245개 시·군·구 중 최상위 소득수준과 최하위 소득수준 사이에 흡연율 격차(단위:%포인트)가 가장 큰 곳은 남성에게는 경북 울진군(20.2%포인트), 여성에게는 경기도 동두천시(9.5%포인트)였습니다.

반면 최상위와 최하위 소득수준 간 흡연율 격차가 가장 적은 곳은 남성의 경우 의정부시(-3.7%포인트), 여성의 경우 인천시 옹진군(-1.4%포인트)으로 파악됐습니다.

마이너스(-)의 격차가 생긴 것은 조사 대상 전체로 봤을 때는 소득수준에 따른 흡연율의 역전 현상이 없었지만, 남녀별로는 일부 지역에서 최상위 소득수준의 흡연율이 최하위 소득수준보다 높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남성 흡연 불평등이 큰 지역 2∼5위에는 경기도 안성시(18%포인트), 서울 마포구(17%포인트), 전북 고창군(16.4%포인트), 서울 광진구(15.2%포인트)가 꼽혔습니다.

이에 비해 여성 흡연 불평등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9.5%포인트), 경남 통영시(6.7%포인트), 강원 원주시(6.6%포인트), 부산 중구(6.5%포인트)의 순서로 컸습니다.

서울의 흡연 불평등은 남성의 경우 마포구, 용산구, 광진구에서, 여성의 경우 용산구, 동대문구에서 각각 두드러졌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 결과가 흡연율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사회계층에 따른 흡연율의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상위 계층에서 흡연율이 높아지는 양상이 나타나지만, 담배 유행이 정점을 지나 흡연율이 감소하는 시기에는 낮은 사회계층에서 높은 흡연율이 관찰되는 선진국의 양상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강영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7년치 누적 흡연량 조사결과를 이용해 흡연율의 불평등 크기에서 시·군·구 지역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면서 "향후 흡연율과 흡연율 불평등 크기에서의 지역간 변이를 설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