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18단체 "전두환 회고록, 다시 쿠데타 당한 기분"

5·18 기념재단 등 5·18 단체들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회고록 논란과 관련해 "37년 만에 다시 쿠데타를 당한 기분"이라며 분노했습니다.

전 전 대통령이 자신을 '제물'로 비유하면서 발포명령이 없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5·18 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회고록에 언급된 조비오 신부의 유족과 함께 '사자에 대한 명예 훼손죄'를 물을 수 있는지 변호사에게 자문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가능한 법적 대응으로는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방법이 있지만, 회고록에 구체적으로 특정된 이들이 한정적이라 법적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고 단체 측은 설명했습니다.

5·18 단체들은 "발포명령이 없었다"는 전 전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1995∼1996년 서울지검 조사 내용에 "희생이 있더라도 광주사태를 조기에 수습하라"는 '전두환 친필메모'에 대한 당시 군 관련자 진술이 존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체들은 1980년 5월 20일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을 만난 고 김수환 추기경이 진술한 영상 내용도 공개했습니다.

김 추기경은 "면담 당시 전두환이 '지금 내란 사태가 벌어졌다'고 말하고 국방부로 회의하러 간다고 자리를 떴다"며 다음날 새벽 전 전 대통령이 국방부 장관과 자위권 발동을 직접 이야기 나눈 근거가 되는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전 전 대통령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헬기 사격 여부와 관련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인한 데 대해 5·18단체들은 당시 발견된 벌컨포 탄피를 증거로 들며 반박했습니다.

국과수는 최근 감식결과에서 61살 이모씨가 1980년 5월 말 광주 남구 봉주초등학교 인근 논에서 주워 보관해온 벌컨포 탄피 2점과 기관총 탄피 1점이 5·18 광주 민주화운동 이전에 생산된 것으로 '5·18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탄피 중 20㎜ 벌컨포 탄피 2개는 1977년에 생산된 것으로 추정됐고, 12.7㎜ 기관총 탄피 1개는 1963년에 생산된 것으로 감식됐습니다.

전 전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북한이 개입했다는 의혹도 강도 높게 제기했는데, 5·18 단체들은 최근 입수한 미 중앙정보국 기밀문서 분석 결과 보고서를 토대로 "북한군은 광주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못 박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