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듀크대학 "어릴 때 납에 노출되면 30년 뒤 어른 되어서 지능↓"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나오는 납에 어려서 장기간 노출된 사람은 어른이 됐을 때 지능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미국 듀크대학과 뉴질랜드 오타고대학 공동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학계에 보고했습니다.

미국의학협회지 온라인판에 게재한 논문에 실었습니다.

연구팀은 뉴질랜드의 해안도시 더니든 등에서 1972~1973년에 태어난 어린이 천여 명을 대상으로 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간 추적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이 이 어린이들이 11세 때 혈중 납 농도를 측정하고 38세 때 지능지수를 검사하고 직업 등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를 비교 평가할 수 있었던 대상은 565명이었습니다.

1970~80년대 당시 더니든 등은 자동차 매연으로 인한 오염이 높은 편이었으며 11세 때 측정한 이곳 아이들의 혈중 납 농도는 혈액 1데시리터당 10.99 마이크로그램으로 국제기준치의 2배가 훨씬 넘었습니다.

이들의 38세 때 지능지수는 납 농도가 가장 낮았던 그룹에 비해 평균 4.25 낮았습니다.

혈중 납 농도가 5㎍/㎗ 높아질 때마다 38세 때 지능지수는 1.5씩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부모의 지능이나 사회경제적 지위 등 관련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 제거해도 어릴 때 혈중 납 농도가 높았던 그룹의 38세 때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돼 지능 저하와 인지·행동 능력 저하가 사회활동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납이 신경계 발달을 저해하거나 손상하고 인지, 행동장애와 치매 등을 유발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세계보건기구도 건강에 안전한 납 노출 수준은 없으므로 최대한 노출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권고해왔습ㄴ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는 어릴 때 납에 노출되면 근 30년 뒤 또는 평생 악영향에 시달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1980년대 초만 해도 이 어린이들이 노출된 납 혈중농도는 보통이며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여겼으며 35㎍ 이상일 때만 의학적 조사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후 많은 나라에서 유연휘발유 사용을 규제하면서 자동차 배기가스 속 납 성분으로 인한 오염은 크게 줄었으나 여전히 곳곳의 토양과 물, 대기에 납 성분이 남아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