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 걸프국서 위조품 밀매"…외화벌이 대체시장 노리나

북한이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 와중에서 외화 획득원 확보를 위해 걸프국가를 무대로 위조품을 밀매하고 노동자를 파견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신문은 "북한이 김정남 살해사건으로 우호국이었던 말레이시아와 관계가 악화하는 가운데 이들 국가에서 외화벌이 활동을 활성화할 우려도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가짜 명품인 북한제 손목시계가 팔리고 있었다고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의류와 장식품 소매점이 몰려 있는 옛 시가지 카라마 지역의 한 가게에서 방글라데시 남성이 유럽 유명 브랜드가 붙은 북한의 위조 손목시계가 들어있는 서류가방을 열어 보이며 정품의 5~10% 가격을 제시했다.

그는 "북한제는 수적으론 적지만 조악한 제품이 많은 중국산과 비교해 정교하고 질이 높다"고 신문에 말했다.

가게 사장은 이란인으로, 북한제 위조품은 이란을 경유해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근에서 2㎞ 떨어진 상업지에는 북한 식당도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북한은 걸프협력회의(GCC) 회원 6개국 중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5개국과 국교를 수립한 상태다.

신문은 "북한은 말레이시아에서 행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값싼 외화 획득원으로 걸프국가에 노동자를 파견했다"며 "그 수는 1만5천명 정도로 추산되며, 쿠웨이트와 카타르가 주로 받아들였다"고 전했다.

미국 워싱턴의 조사연구기관 '정책연구소'의 존 페퍼 국장은 "위조품 판매 등 불법 활동과 노동착취에 의한 북한 수익은 전 세계에서 연간 10억 달러(약 1조1천136억원)에서 20억 달러(2조2천272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