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학 간 줄 잇는 상생·제휴 협약…실효성 있나

교육부 구조개혁 평가에 '보여주기식 제휴' 지적

국립대를 비롯한 전국 대학들이 연합대학 등 형태로 잇따라 제휴 협약을 맺고 있으나 실효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대구·경북 대학가에 따르면 교육부는 인접 대학 사이에 소모적 출혈 경쟁을 막고 중복 투자에 따른 비효율성을 억제한다는 취지로 구조개혁 평가 과정에 대학 간 교류협력 수준을 반영키로 했다.

사실상 대학 사이에 컨소시엄 형태의 교류협력을 주문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대학들이 서로 연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경일대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영남대는 이날 대구한의대 본관에서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학마다 보유한 우수 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교류협력을 강화해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취지다.

6개 대학은 앞으로 소속 학생이 정규·계절 학기 개설 과목 수강을 서로 가능하도록 하고 상대 대학에서 취득한 학점도 본교에서 딴 학점과 동등하게 인정해주기로 했다.

또 학생과 교직원에게 도서관, 체육시설, 정보통신시설, 연수원, 의료원 등을 이용할 편의를 서로 제공한다.

유학생 유치에도 함께 나서고 취·창업 캠프와 박람회도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지난달 21일에는 경북대와 대구교대가 학점교류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두 대학은 교원 양성기능을 연계하고 학점·교직원 교류, 공동 교육과정 개발·연구, 공간·시설물 공동 활용 등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같은 달 28일에는 안동대와 금오공대가 유사한 내용인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충북 충주와 청주에 있는 한국교통대와 한국교원대가 지난달 13일 교육자원 교류 협약을 했다.

부산가톨릭대와 부산외국어대, 영산대도 지난달 15일 연합대학 협약을 맺는 등 대학 간 연합이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를 놓고 부정적 시각도 만만치 않다.

교육부가 재정지원 사업을 내세워 압박하자 대학들이 마지못해 실효성이 높지 않은 연합대학 형태의 제휴 방안을 마련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대구권 6개 대학 가운데 계명대를 뺀 5개 대학은 1998년 6월 학점인정과 교류 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20년 가까이 학점을 교류한 적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협약에 참석한 대구권 모 대학 관계자는 "그동안 학점교류가 원활하지 못한 점 등을 고려해 실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각 대학 기획처장 등으로 구성하는 '연합대학 운영위원회'를 별도로 운영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