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세월호 객실·화물칸 거의 물 빠져…선체 하부 '천공' 불가피


26일 오전부터 시작된 세월호 배수와 방제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창문이 많은 객실과 화물칸의 자연 배수는 상당 부분 진척됐습니다.

반면 밀폐돼 있어 물이 잘 빠지지 않는 기관실 등 선체 하부는 추가 천공을 통해 배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2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창문, 출입구, 구멍 등 개구부(開口部)가 많은 세월호 객실(A∼B데크)과 화물칸은 많은 양의 바닷물이 한꺼번에 쏟아져나오면서 상당 부분 비워냈습니다.

화물칸 C데크는 창문이 많고, D데크는 램프 (자동차 등이 드나드는 선박 구조물)를 떼어낸 쪽에 공간이 생기면서 배수가 원활히 이뤄졌습니다.

아직 빈틈으로 물이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고 객실 사이사이 막혀 있는 공간도 있어 배수 작업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지만,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화물칸 더 아래쪽에는 기관실, 기름탱크, 평형수 탱크 등이 있는 공간이 있는데, 창문이 없고 밀폐돼 있는 탓에 빈틈으로 물이 조금씩 스며 나오는 정도여서 배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해부수와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는 이 부위에 추가로 배수 구멍을 뚫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 공간 때문에 전체적인 배수 작업이 오래 걸리는 것"이라며 "천공을 얼마나 해야 할지를 현장에서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선체에 추가로 구멍을 뚫으면 선내 잔존물이 유실될 위험이 큰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해수부는 객실과 관계없는 선체 맨 아래에 배수 구멍을 뚫는 것이고 구멍 크기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유실 가능성이 작다는 입장입니다.

방제 작업도 원활히 이뤄져 현재는 반잠수식 선박을 넘어 밖으로 확산하는 기름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해수부는 세월호에서 나오는 잔존유가 퍼져나가지 않도록 3중 막을 쳐 방제대책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