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의·축의금 내다 빚낼 판"…사회초년병 '잔인한 3월'

"부의·축의금 내다 빚낼 판"…사회초년병 '잔인한 3월'
직장 생활 2년차 사회 초년생 정모(28·여)는 결혼식 계절이 시작되는 3월 들어 경조사비로만 48만원을 지출했습니다.

30대 후반 노총각 딱지를 뗀 직장 상사와 친한 친구의 결혼식에 각각 10만원의 축의금을 냈고, 이전 직장 동료 5만원, 대학 학과 동기 5만원, 취업 준비생 시절 알게 된 친구 5만원 등 이달에만 5개 결혼식에 총 35만원을 보냈습니다.

여기에 직장 상사의 부친상 등 총 4번의 부의금으로 이달에 18만원이 추가로 나갔습니다.

청주에서 중견기업에 다니는 정씨는 "이달 월급이 200만원 초반인데 경조사비로 25% 가까이 썼다"면서 "경조사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친한 친구는 조부모상까지 챙기고, 일반적인 경우에는 친부모상만 챙기기로 룰을 정했다"고 전했습니다.

서울에서 4년째 직장을 다니고 있는 최모(31)씨는 300만원 중반 정도 월급을 받지만 "5만원∼10만원씩 부조를 하면, 한 달에 50만원 넘게 나갈 때도 있다"면서 "사회생활을 하는 이상 애경사를 알뜰하게 챙기다보면 경조사비 부담이 상당하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월세 60만원 원룸에 사는 최씨는 이달 집세·식비·통신비 등 고정 지출에 더해 경조사비 '폭탄'을 맞으면서 통장 잔고가 바닥났습니다.

경기 불황에 월급 등 소득은 늘지 않는데, 3월 들어 밀려드는 청첩장과 부고에 경조사비 부담이 커지면서 월급쟁이들의 부담이 큽니다.

3월은 환절기 일교차가 크게 벌어져 궂긴 소식을 가장 많이 접하는 시기이면서, 3∼5월 봄철 결혼 '성수기'가 시작하는 달이기도 합니다.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지난달 20∼30대 미혼남녀 43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3%는 청첩장에 부담을 느낀다고 대답했습니다.

특히 수입이 적은 20∼30대 사회초년생에게는 경조사비가 말 못할 '속앓이'가 되는 것입니다.

한 결혼정보회사 관계자는 "사회생활을 막 시작한 직장인들이게 봄철 경조사비가 부담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일정 금액 이상 축의금을 내야 한다는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TV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