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파면 후 첫 메시지는 '공허'

<앵커>

앞서 어제(21일) 오전 검찰에 나간 박 전 대통령은 당초 예고와는 달리 형식적인 언급만을 한채 검찰청으로 들어갔습니다. 단 8초, 29자의 짧은 메시지는 그 자체로는 별다른 의미가 없는 내용이었습니다. 

진솔한 사과도 아니고 그렇다고 검찰수사를 비난하지도 않은 박 전 대통령 발언의 의미를 임찬종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은 언론과 접촉할 때마다 혐의를 부인해왔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2017년 1월 1일 기자간담회 : 완전히 엮은 겁니다. 어디를 도와줘라 하는 것 하고는, 그 누구를 봐줄 생각은 손톱만큼도 없었고….]

[박근혜 전 대통령/정규재TV 인터뷰 (2017년 1월 25일) : 뭔가 오래전부터 기획된 것이 아닌가 하는 그런 느낌도 지울 수가 없어요, 솔직한 심정으로….]

그러나 파면 이후 처음 내놓은 8초 남짓한 육성 메시지에선 혐의에 대해선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습니다. 박 전 대통령 측은 억측을 막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

[손범규/박 전 대통령 변호인 : 국민 여러분에 대해서 전할 메시지는 다 전달된 것이라고 봐요. 길게 얘기하는 순간 오히려 더 어떤 억측을 낳을 수 있고, 오해를 낳을 수 있고.]

일각에선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구속영장이 청구될 경우 혐의를 공개 부인하는 것이 영장심사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12일 자택에 복귀할 때 진실을 밝히겠단 뜻을 표명했다가 여론을 악화시킨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혐의를 시인할 수도 없으니 검찰에 소환되는 인사들의 의례적 메시지를 선택했다는 겁니다.

[우병우/전 민정수석 (2016년 11월 6일) : 오늘 검찰에서 물어보시는 대로 성실하게 조사를 받겠습니다.]

[김정주/NXC 회장 (2016년 7월 13일) : 조사 과정에서 성실하게 답변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준비된 메시지가 있다는 변호인단의 전언을 듣고 '혹시나' 하는 마음을 가졌던 국민에게는 너무나 짧고 의례적인 메시지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