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리움 병풍그림서 다산 정약용의 미공개 詩 발견"

"리움 병풍그림서 다산 정약용의 미공개 詩 발견"
삼성미술관 리움이 소장하고 있는 19세기 병풍 그림인 '표피장막책가도'에서 다산 정약용(1762∼1836)이 강진 유배 시절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시가 발견됐습니다.

화가가 다산의 시첩을 보고 그려넣은 것으로, 시첩에 적힌 시 세 수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작품입니다.

정민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계간지 '문헌과 해석' 봄호에 표피장막책가도 속의 시첩을 분석한 이런 내용의 논문을 발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른바 '호피장막도'로도 불리는 표피장막책가도는 가로 355㎝, 세로 128㎝ 크기의 8폭 병풍입니다.

그중 여섯 폭에는 표범가죽 장막만 그려져 있고, 두 폭에는 표피 장막 아래에 책상과 각종 기물이 묘사돼 있습니다.

책상 위에 놓여 있는 서첩에는 '산정에서 대작하며 진정국사의 시에 차운(남의 운자를 써서 시를 지음)하다'란 제목의 시 한 수와 '산정에서 꽃을 보다가 또 진정국사의 시운에 차운하다'란 제목 아래 딸린 시 두 수가 적혀 있다고 정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특히 첫 번째 시에는 '자하산인'(紫霞山人), 두 번째 시에는 차에 미친 사내라는 뜻의 '다창'이란 작자명이 남아 있습니다.

시첩에 실린 시들은 주로 편안한 생활을 주제로 삼았습니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품인 '표피장막책가도' 속 시첩. 다산이 지은 두 번째, 세 번째 시가 적혀 있다. (사진=연합뉴스/정민 교수 제공)
정 교수는 "그림 속의 필체는 다산의 친필과 매우 유사하다"면서 "화가가 실물을 놓고 그대로 베낀 것으로 짐작되는데, 그 역량 또한 대단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같은 진정국사의 시를 차운했고, 자하산인과 다창도 한 사람의 별호"라며 "차를 좋아하고 남방에 산 경험이 있으며 자하산인이란 별호를 지닐 만한 사람은 다산 정약용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자하산은 다산초당이 있던 귤동 뒷산의 다른 이름으로, 정약용은 실제로 자하산인이라는 별호를 사용했다"며 "다산이 다창이라는 별호를 썼다는 사실도 이 서첩을 통해 처음 확인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교수는 "그림 속에서 다산의 시를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화가가 그림 속에 그리고 싶었을 정도라면 상급의 다산 시첩이었을 텐데 행방을 알 수 없어 아쉽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