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우 소비 줄어도 가격 '요지부동'…유통이 '문제'

<앵커>

청탁금지법과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한우소비는 계속 침체돼 있습니다. 소비가 준 만큼 산지의 한우 값은 크게 떨어졌는데 정작 소비자 가격은 그대로입니다. 이유는 다 짐작하시는 대로 고질적인 유통의 문제입니다.

장세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청탁금지법 직격탄을 맞은 서울 마장동 축산물 도매시장입니다.

한우 소비가 줄면서 산지 도매가격은 킬로당 1만 6천 원대까지 떨어졌습니다. 다섯 달 전에 비해 12%나 내린 겁니다. 

그래도 손님 없기는 마찬가집니다.

[김영학/한우 도매업자 : 김영란법 발의되면서 선물세트 부분이 아예 안 나갔고 소비자들의 소비 물량이 너무 적습니다.]

이렇게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한우 도맷값 약세가 계속됐지만, 정작 소비자들이 접하는 대형 마트나 정육점의 한우 값은 딴 판입니다. 소비자 판매가격을 조사해 봤더니 2% 내렸거나, 오히려 오른 품목도 있습니다.

[이은영/서울 마장동 : (한우 가격이) 별로 떨어진 것 같지 않고 비싸서, 거의 호주산이나 미국산을 많이 사는 것 같아요.]

이렇게 한우 소매가가 비싼 건 유통단계가 많아서입니다. 도축에서 소매까지 4~5단계를 거치면서 산지에서 6000원 하는 소고기가 도시의 마트에선 1만원에 팔립니다. 40%가 유통 비용인 셈입니다.

특히 소비자한테 팔릴 때 정육점이나 마트에서 발생하는 유통비용이 판매가의 30% 정도로 제일 많습니다. 청탁금지법 탓하기 전에 한우 유통 비용에 낀 거품부터 없애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