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재인, 태극기 흔들며 "가짜보수보다 애국심 투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제98주년 3·1절을 맞아 태극기를 들고 거리에 나섰습니다.

문 전 대표는 태극기 깃대 꼭대기에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란 리본을 달고 나왔습니다.

보수층에서 사용하는 태극기와 구별을 확실히 지으면서 '진짜 애국'을 자임하면서 진보적 지지층을 끌어안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

문 전 대표는 오늘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열린 3·1절 '그날의 함성' 기념행사에 참석했습니다.

문 전 대표는 오늘 검정색 한복 두루마기 차림으로, 일각에서는 김구 선생을 떠올리게 하는 복장이라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문 전 대표는 형무소 담벼락을 돌면서 3·1 만세운동을 재현하는 퍼포먼스에 함께했습니다.

참석자들이 만세를 부를 때 문 전 대표도 결연한 표정으로 손에 든 태극기를 흔들며 함께 만세를 불렀고, 그 뒤에는 대형 태극기도 뒤따랐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한 중년 여성이 문 전 대표에게 달려들어 소리를 지르면서 수행원에게 끌려가는 돌발사건도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문 전 대표는 항상 친일청산의 중요성을 언급해왔다"면서 "가짜 보수보다 안보관과 애국심이 투철하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알리고자 태극기를 들고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기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문 전 대표의 국가관이나 안보관을 겨냥한 여권이나 보수층의 비난을 차단하고, 중도층 표심을 끌어안겠다는 전략도 깔린 것으로 보입니다.

문 전 대표는 동시에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층인 진보층의 민심을 끌어안으려는 모습도 함께 보였습니다.

문 전 대표의 태극기에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란 리본이 달려 있었으며, 서울 서대문구 임시정부 기념관 건립추진 현장을 방문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풀이됩니다.

야권은 대한민국이 임시정부를 계승했다고 주장하면서, 보수층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시기를 1948년으로 봐야 한다'는 건국절 주장에 맞서고 있습니다.

문 전 대표는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의 적통을 계승한 것"이라면서 "정권교체를 하면 임시정부 기념관을 국립시설로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도 많은 국민이 촛불을 들고 대한민국을 진정한 민주공화국으로 만들자고 외치고 있다"면서 "정권교체를 통해 오랜 적폐를 청산하고 촛불혁명을 완성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문 전 대표는 오늘 오후 5시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집회에도 참석합니다.

아울러 이번 주말 촛불집회에도 참석하는 등 헌재의 최종 선고가 날 때까지 탄핵에 모든 초점을 맞출 방침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