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제 허리마저 '휘청'…40대 가구 소득 증가 폭 역대 최소

40대 가구의 소득 위축이 심화하면서 증가 폭이 사상 처음으로 0%대로 주저앉았습니다.

가구주 연령대가 40대인 가구는 다른 연령대 가구보다 소비 지출이 월등히 많아 한국 경제의 허리로 불립니다.

40대 가구의 소득 위축이 자칫 '소비 절벽'을 심화하는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주 연령이 40∼49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00만5천 원으로 전년보다 0.9%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이는 전년 증가 폭(2.8%)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낮습니다.

40대는 통상 이직이 잦은 20∼30대, 명예퇴직 등으로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는 50∼60대와 달리 상대적으로 소득이 안정된 계층입니다.

실제로 40대 가구 소득은 연 기준으로 단 한 번도 감소하지 않고 매년 최소 2%대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유지해왔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 소득이 1년 전보다 0.03% 줄어들며 처음으로 뒷걸음질친 데 이어 4분기에는 감소 폭이 0.04%로 더 확대됐습니다.

40대 소득 증가 폭의 둔화는 사업소득이 1.7% 줄어들며 3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한 탓이 컸습니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도 3년째 역대 최저 수준인 2%대 증가율에 머물면서 40대 가구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문제는 40대 가구가 왕성한 소비력으로 한국 경제의 내수를 주도하는 계층이라는 점입니다.

지난해 기준 40대 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은 308만 원으로 전 연령대 가구 중 가장 많았습니다.

60세 이상 가구의 소비지출(165만원)의 2배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40대 가구의 소득 위축이 소비 진작에 전력을 다하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지난해 4분기 40대 가구의 소비 지출은 소득 감소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7% 줄어들었습니다.

40대 가구 소비 지출이 줄어든 것은 2013년 1분기 이후 3년여만이고 감소 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분기 3.2% 줄어든 이후 최대입니다.

정부 관계자는 "제조업 구조조정 등으로 경기 불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소규모 사업을 하는 사람이 늘면서 경쟁까지 심화 돼 자영업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40대 사업소득이 감소한 것은 이런 점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