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 쇄신안 발표 예정…대관업무 손 뗀다

삼성, 쇄신안 발표 예정…대관업무 손 뗀다
삼성이 정부, 국회, 지방자치단체 등 이른바 '관(官)'을 상대로 로비나 민원 등을 하는 '대관' 조직을 폐지하고 대관업무에서 손을 떼기로 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 사태를 계기로 정경유착 고리를 완전히 끊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조치입니다.

오늘(27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조만간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하면 삼성은 그 직후에 준비해온 '쇄신안'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쇄신안의 큰 뼈대는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왔던 미전실,즉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고, 각 계열사가 이사회 중심의 자율경영을 한다는 내용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전실이 보유한 7개 팀, 즉 전략팀, 기획팀, 인사지원팀, 법무팀, 커뮤니케이션팀, 경영진단팀, 금융일류화지원팀의 기능 중 대관업무를 담당해온 기획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의 기능은 삼성전자·생명·물산 등 3대 주력 계열사로 이관됩니다.

그룹 차원의 대관 기능은 미전실 해체와 함께 영구히 폐지되는 것입니다.

미전실의 대관업무를 로펌,즉 법무법인에 위탁하는 방안이 추진된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삼성은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습니다.

미전실 해체 후에 삼성그룹 산하 계열사의 이사회 기능은 전례 없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그룹 차원의 '가이드라인'은 없어지고, 각 계열사는 주요 의사결정을 이사회를 통해 하게 될 것이라는 게 삼성의 설명입니다.

그룹 공채도 올해 상반기 채용이 마지막이 될 전망입니다.

앞으로는 계열사가 자체 인력 상황을 고려해 신입이나 경력 사원을 뽑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미전실 소속 임직원 200여 명은 원래 소속됐던 계열사로 복귀합니다.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한두 달 정도 삼성전자·생명·물산 등 3개 회사에서 미전실 업무의 뒤처리를 한 뒤 원소속사로 돌아가게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은 조만간 쇄신안을 발표하면서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으로 인한 국민연금과 소액주주의 손실 주장과 관련해, 사회공헌 차원의 보상책을 내놓는 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2008년 이건희 회장 차명계좌의 실명 전환 후 세금을 납부하고 남은 1조 원을 어떻게 사회에 환원할지도 밝힐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이매진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