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송곳 질문' 부담됐나…박 대통령 최종변론 불출석 이유는

박근혜 대통령이 자신의 파면 여부를 결정하는 탄핵심판 최후변론에 출석을 포기한 것은 복합적인 이유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헌재 안팎에선 박 대통령의 불출석·서면 의견 제출 방침에는 헌법재판관과 국회 측의 '송곳 질문'에 대한 큰 부담감이 자리하고 있을 거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대통령 측은 대통령이 법정에 나와 최후진술만 하고 질문 없이 퇴장할 수 있는지 질의했지만, 헌재는 '출석 시 질문을 피해 갈 순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이에 국회가 박 대통령을 향한 1시간여의 신문을 준비하고, 일부 헌법재판관도 대통령 측에 내놓을 질문을 다듬고 있다는 얘기가 나왔습니다.

특히 일부 대통령 측 대리인은 "'망신주기'성 질문에 시달릴 게 뻔하다"며 '최후진술'이란 방어권을 포기하더라도 불출석할 것을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가 최고 권력자가 심판대 아래에서 신문 받는 모습이 여과 없이 언론에 노출될 경우 권력 누수 현상을 가속할 수 있다는 우려 역시 나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박 대통령이 불출석을 결심한 다른 이유는 김평우 변호사 등 대리인 일부가 주장하는 '추가 변론 재개'와 '심판 중단' 등의 논리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현재 일부 대통령 대리인은 대법원이 이 권한대행 후임을 지명하겠다고 밝힌 것을 계기로 현재가 '8인 체제'로 심판을 선고해선 안 된다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대리인들이 '편파재판'을 주장하며 최종변론 일정을 사실상 거부하려는 움직임까지 있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헌재에 출석하는 것은 전략적으로 모순된다고 판단했을 수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법정 진술을 위해 헌재에 출석하는 것 자체가 불명예에 해당한다는 대리인단 일각의 인식 역시 대통령의 판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대통령 측 이중환 변호사는 "대통령이 법정 나와서 신문을 받는 것이 국가 품격을 위해서 좋겠냐"며 출석에 반대하는 취지로 발언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대면조사를 거부하면서 헌재에 나와 입장을 내놓는 것에 대한 비판 여론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리인단 일각에선 "헌재에 나와 진술하면 특검·검찰에 패를 보여주는 것이 된다"며 출석을 강하게 만류하는 의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지세력 집결이 예상되는 3월 1일을 기점으로 원하는 시간·장소에서 입장을 밝히는 '장외전'의 가능성도 헌재 출석을 건너뛰게 한 요소로 해석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