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 위협 증가로 美 3함대 서태평양에 전진 배치"

미국 서부 해안을 관할하는 미 해군 3함대가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최신예 전력을 서태평양 지역으로 전진 배치했습니다.

미 해군연구소(USNI) 뉴스에 따르면 조지프 오코인 7함대 사령관(중장)은 최근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해군 포럼'(WEST 2017) 연설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과 관계 개선을 하지 않은 유일한 국가가 북한이며 지금 당장 전투가 벌어진다면 발생지는 바로 한반도일 가능성이 크다"며 이런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전투기 조종사 출신인 오코인 사령관은 7함대가 북한의 기습 침략에 따른 비상사태 대응에 집중할 수 있도록 3함대가 날짜변경선(IDL)을 벗어난 서태평양 해역에서 작전할 수 있도록 능력을 배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코인 사령관은 이 해역이 전통적으로 7함대 작전해역이었다면서, "3함대 전진 배치" 구상은 스콧 스위프트 태평양함대 사령관이 2015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떠 태평양사령부 산하 미 해군은 조기경보기 E-2D '어드밴스드 호크아이스, '제3 해병원정군(MEF) 배속 F-35B '라이트닝 II' 스텔스 전투기 비행대대, F/A-18E '슈퍼 호넷' 전투기 비행단 등을 이미 일본에 배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코인 사령관은 몇 년 뒤 해군용인 F-35C 스텔스 전투기도 일본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함정과 관련해서도 그는 버지니아급 핵 추진 공격형 잠수함들이 서태평양 지역에 수시로 배치되고 있으며, 이지스 구축함들은 최첨단 탄도 미사일 요격 체계를 갖췄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에 배치된 조기경보 레이더(AN/TPY-2)망과 패트리엇 미사일 포대 덕택에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이 크게 개선됐습니다.

노라 타이슨 3함대 사령관(중장)도 이 포럼에서 북한의 위협이 3함대 전력의 전진 배치의 주원인이라고 밝혔습니다.

타이슨 사령관은 "지난 18개월 동안 3함대는 7함대 및 태평양함대와 함께 지휘통제 병력을 서태평양 해역에 전진 배치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데 주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타이슨 사령관은 또 "오코인 사령관의 설명처럼 분쟁 가능성이 가장 큰 한반도 상황을 가상해 한국 작전 전역에서 당장 오늘 밤이라도 싸울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 데 주력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특히 핵 추진 칼 빈슨 항모 타격전단이 지난달 5일 모항인 샌디에이고를 떠나 남중국해에 배치됐으며, 샌디에이고에서 하와이로 이동하는 중 높은 수준의 전투훈련을 추가로 수행했다고 덧붙였습니다.

3함대는 칼빈슨 등 4개의 핵 항모전단, 30여 척의 이지스 순양함과 구축함, 핵 추진 공격잠수함 30여 척 등 막강한 전력을 갖췄지만, 7함대와 달리 원정함대가 아닌 예비함대로 미국 서해안 해역 경비를 담당해 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