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0대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수립…올해 6천703억 원 투입

정부가 한국형 발사체와 인공위성 등에 들어갈 우주기술의 개발 일정을 담은 로드맵을 마련하고, 관련 기술개발에 올해 6천703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오늘(22일) 정부과천청사에서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어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과 '2017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을 확정했습니다.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해 미래부는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2014∼2040)에 있는 사업 수행에 필요한 기술 200개를 선정해, 개발 일정을 정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사업으로 개발된 주요 엔진부품의 시험·조립을 2019년까지 진행하고, 달 탐사 사업에 쓰일 우주 관측 카메라는 2019년까지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미래부는 연구개발 사업의 과제기획과 예산 배분에 이 로드맵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우주기술 개발에는 올해 총 6천703억 원이 투입됩니다.

세부적으로는 한국형 발사체개발 사업에 2천200억 원, 달 탐사 사업에 710억 원이 투입됩니다.

다목적실용위성 6호 및 7호, 차세대중형위성 1호 등 인공위성 개발에는 2천184억 원을 지원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우주기술 검증과 우주과학 임무를 수행할 '차세대소형위성 1호'를 발사할 예정입니다.

오늘 위원회에서는 '2017년도 우주위험대비, 위성정보 활용, 우주기술 산업화전략 시행계획'도 확정됐습니다.

특히 지난 2011년 중국이 발사한 실험용 우주정거장 모듈 '톈궁 1호'의 일부 부품이 올해 말 지구로 떨어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온 가운데 우주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매뉴얼을 정하고 민·관군 합동 훈련을 5월 중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또 위성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위성 개발에 기업의 참여비율을 늘리고 2018년까지 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우주부품시험센터'를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위원회에서 정한 '우주기술개발 로드맵'은 우주 분야 핵심 기술력 확보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며 "우주개발에 대한 장기적 비전과 도전정신,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이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