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러 논란' 美국무, 러 외교와 첫 만남서 '우크라 해결' 촉구

G20서 미·러 외무장관 회담…틸러슨 "우크라이나 폭력사태 완화해야" 직격탄

'친(親)러시아' 논란에 휩싸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 장관과의 첫 대면에서 민감한 현안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정면으로 촉구해 주목된다.

틸러슨 장관은 16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G20(주요 20개국) 외무장관 회의 도중 라브로프 장관과 양자 회담을 열어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분쟁 해결을 위한 민스크 협정을 준수하라고 요구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틸러슨 장관은 1시간가량의 회담 직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미국민에게 이익이 되는 실질적 협력 분야에서는 러시아와 협력을 고려하겠지만, 서로 의견이 어긋나는 분야에서는 미국과 동맹국의 이익과 가치를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공감대를 찾는 과정에서 러시아가 민스크 협정을 지키고 우크라이나에서의 폭력 사태를 완화하도록 노력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WP는 틸러슨 장관이 우크라이나 동부 크림반도에서 러시아 주둔군의 철군을 사실상 주문한 것으로 해석했다.

거대 정유사인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틸러슨 장관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오랜 친분을 유지해왔고, 지난 2012년엔 러시아 정부로부터 '우정훈장'까지 받은 미 재계의 대표적 친러 인사로 분류돼 왔다.

이 때문에 틸러슨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첫 국무장관 내정자로 지명되자 '친러 내각' 논란이 더욱 격화한 바 있다.

그는 전임 버락 오바마 정부가 주도한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에 대해서도 비판적 입장을 취했었다.

이런 점에서 틸러슨 장관의 이날 발언은 자신의 친러 이미지를 공개적으로 불식하는 한편, 최근 미 국내 정국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한 트럼프 정부의 '러시아 유착 스캔들'을 다분히 의식한 행보로 받아들여졌다.

아울러 국제외교 데뷔전인 이번 다자 회의를 통해 초강대국 미국의 국무장관으로서 독보적이고 분명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음을 강조하려는 의도도 어느 정도 내포돼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라브로프 장관은 이날 회담에서 러시아가 미국 정치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우리는 다른 나라의 국내 문제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며 '결백'을 거듭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