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해 가계대출 124조 원 증가…2금융권 대출 급증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가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돈이 120조 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업무보고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1천154조 6천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124조 원 늘었습니다.

연간 증가액이 2015년 110조 1천억 원을 뛰어넘어 사상 최대치로 집계됐습니다.

대부업체, 주택도시기금, 자산유동화회사 등의 대출금과 결제 전 신용카드 사용액과 할부금융 등 판매신용까지 포함하면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액은 130조 원 안팎이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은행과 비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는 엇갈린 행보를 보였습니다.

보험사,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회사,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55조 1천억 원 늘어나면서 2015년 증가액보다 72.7% 많았습니다.

반면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해 68조 8천억 원으로 2015년 증가액에 비해 12% 줄었습니다.

지난해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의 도입으로 은행권 대출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제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이동한 '풍선효과'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제2금융권 대출은 보통 은행보다 이자가 비싸므로 원금과 이자 상환 부담이 큽니다.

지난해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20조 8천억 원 늘면서 증가액이 2015년의 43.1%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한은은 "기업 대출은 업황 부진,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신용 경계감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분석했습니다.

대기업 대출은 9조 7천억 원 줄어든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30조 5천억 원 늘었습니다.

중소기업 대출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은 22조 1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업무보고 자료에서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해 수요 측면에서 물가상승 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과 미국의 통화정책,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