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재용·가신 동시 영장청구 가능성…삼성 "감당 안 되는 상황"

14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저울질하는 가운데 삼성그룹은 1차 영장청구 때보다 긴장된 모습이 역력하다.

이재용 부회장만을 신병처리 하겠다던 특검이 기존의 수사 계획을 백지화하고 삼성 수뇌부에 대한 영장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삼성에서 박근혜 대통령 측에 뇌물을 제공한 의혹으로 특검의 수사 대상에 오른 이들은 이 부회장을 비롯해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부회장),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사장, 황성수 삼성전자 대외협력스포츠기획팀장(전무) 등 4명이다.

지난달 17일 삼성의 '경영공백' 우려를 고려해 이 부회장을 제외한 인물들은 불구속 수사를 원칙으로 하겠다던 특검이 이달 13일에는 '원점 재검토'를 선언하며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특히 최지성 부회장과 장충기 사장은 그룹의 핵심 수뇌부로 통한다.

이건희 회장 시절부터 지근거리에서 오너 일가를 보좌해왔고, 그룹에서도 사업·지배구조 개편 등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해왔다.

1977년 삼성에 입사한 최 부회장은 마케팅 전문가로 평가받았다.

2006년 삼성전자 보르도 TV가 세계 1위에 오르도록 하는 데 힘입어 2010년 삼성전자 대표이사에 올랐다.

이건희 회장 시절인 2012년 미래전략실장에 올라 6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14년 이 회장이 쓰러진 후에도 수시로 병실을 찾을 정도로 가까운 인물이다.

'이재용의 가정교사'로도 알려진 최 부회장은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주도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미전실 2인자인 장 사장은 최 실장과 호흡을 맞추며 그룹 안팎의 업무를 챙기고 있다.

1978년 삼성물산에 입사해 삼성 회장 비서실 기획담당 이사보, 삼성 기업구조조정본부 기획팀 상무·전무·부사장 등을 지낸 대표적인 전략통이다.

2009년 사장으로 승진해 삼성브랜드관리위원장을 맡다가 2010년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팀장으로 옮겼다.

이듬해 '미전실 차장' 이라는 직책을 새로 만들며 부임했다.

삼성의 속사정을 두루 잘 알고 있는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씨 측을 지원하는 보고·결재 라인에 있는 것으로 특검은 보고 있다.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이 '큰 그림'을 그렸다면 박상진 사장과 황성수 전무는 실무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받는다.

박 사장과 황 전무는 각각 대한승마협회 회장과 부회장을 겸하고 있다.

이들은 삼성과 승마협회 간 다리 역할을 하며 최 씨와 그의 딸 정유라 씨를 지원하는 데 주도적으로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삼성으로선 이 부회장의 공백도 문제지만 그룹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미전실의 주요 인물들이 통째로 자리를 비우게 될 경우 앞날을 쉽사리 예측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다.

삼성의 관계자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감당이 안 되는 상황이 될 것"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