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연천 구제역 발생 농장주 지난해 9월 베트남 방문

지난 8일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도 연천 젖소 농가의 농장주가 지난해 9월 베트남을 다녀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해당 농가는 국내에서 7년 만에 발생한 A형 구제역 바이러스가 확인된 곳입니다.

이 농장의 A형 바이러스는 지난해 베트남, 미얀마에서 발생한 A형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도 구제역·AI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연천군에 따르면 연천 구제역 발생농가의 농장주 A씨는 지난해 9월 8일부터 11일까지 안성 등 경기지역 젖소 농가 농장주 26명과 함께 베트남 호찌민 관광을 다녀왔습니다.

이들은 베트남을 다녀온 뒤 가축 전염병 발생국 방문 때 거쳐야 하는 공항에서의 소독과 교육을 모두 받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러나 A 씨 농장에서 A형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방역당국은 A 씨와 동행한 다른 농가에 대한 임상조사에 나섰습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감염되면 잠복기가 14일, 최장 21일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분변에서 최장 6개월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습니다.

연천 발생농가의 경우 외부의 출입이 쉽지 않은 외딴곳에 있고 외국인 노동자도 고용하지 않는 등 구제역 바이러스 유입경로가 뚜렷하지 않아, 농장주가 베트남을 방문 때 구제역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이 원인이 돼 발병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방문 당시 베트남에서는 소와 돼지 등 발굽이 2개인 우제류 가축에서 A형 구제역 바이러스가 발병한 상태였습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구제역· AI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관광 목적으로 여행한 것으로, 축산농가를 직접 방문한 것은 아니다"며 "또 여행을 다녀온 시기가 5개월 전으로 농장주의 베트남 방문이 구제역 발병의 원인인지는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분변에서는 6개월가량 생존할 수 있다는 학계 보고도 있지만 대기 중에서는 바로 사멸하기 때문에 현재는 뭐라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연천에서는 지난 8일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의 O형과 달리 A형 구제역 바이러스가 발병, 젖소 110마리가 살처분 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