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저소득층 체감물가 상승률, 고소득층의 3배

저소득층의 체감물가 상승률이 고소득층보다 무려 3배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2015년 소득 10분위 별 지출비중에 가중치로 따로 매겨 물가지수를 각각 계산한 결과 최고소득 구간인 10분위의 연간 물가 상승률은 0.41%에 그친 반면 1분위는 1.33%로 3배가량 높았습니다.

소득구간을 5개 분위로 나눠도 소득 1분위의 지난해 물가 상승률은 1.2%인 반면 소득 5분위는 1분위의 절반도 채 되지 않는 0.5%에 그쳤습니다.

이처럼 소득 구간별로 물가상승률 격차가 큰 이유는 소득에 따라 소비자 물가 측정 기준이 되는 품목의 소비 행태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저소득층은 고소득층보다 상대적으로 식료품과 주거비, 전기료, 연료비 등의 지출비중이 높은 반면 고소득층은 교통비와 교육비 지출비중이 높습니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비중을 보면 1분위는 2012년 기준 23.6%였지만 10분위는 11.1%로 절반에도 못 미쳤습니다.

지난 2015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0.7%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지만, 채소, 과일, 어류 등 신선식품 물가는 2.1%나 치솟았던 것이 저소득층에게는 큰 부담이 됐습니다.

반면, 교통비의 경우 10분위 지출비중은 14.4%로 7.4%인 1분위의 두 배에 달하는데 2015년에는 저유가 기조로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면서 10분위 체감물가 상승률이 1분위에 비해 더 낮아졌습니다.

통계청은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 비중이 총액의 1만분의 1 이상이면서 특정 상품군의 가격을 대표할 수 있고 시장에서 가격 조사를 지속해서 할 수 있는 품목을 선정해 물가지수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소비성향 변화 등을 반영해 0, 2, 5, 7로 끝나는 연도마다 물가지수 가중치도 개편하고 있지만 아직 소득계층별 차이는 반영하지 않고 있습니다.

김 의원은 "통계청의 소비자 물가지수와 국민의 체감물가 사이 격차가 좀체 개선되지 않고 있다"라며 "정부 발표 물가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소비지출 비중을 반영한 계층별 물가지수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