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질연 "경주지진, 지하 11㎞ 양산단층 지류서 발생"

지난해 9월 일어난 경주 5.8 강진이 양산단층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단층에서 발생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은 오늘(24일) '동남권 지진·단층 연구사업계획 발표회'를 열고, 경주지진의 진원으로 추정되는 단층에 대한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질연은 강진이 발생한 직후 긴급조사팀을 투입해 경주 인근 진앙 일대를 조사했고, 작년 11∼12월에는 탄성파 탐사를 진행했습니다.

탄성파 탐사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 인근에 화약 등을 폭발시켜 퍼져 나가는 인공 지진파의 전파 시간과 파동을 분석해 지하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그 결과 기존에 알려진 '양산단층'과 '모량단층'사이에 이름없는 단층(무명단층) 등 소규모 단층들이 지하에 여럿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지질연은 경주지진이 양산단층과 이번에 발견된 무명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이 단층은 지하 11∼16km 부근에서 지층이 북북동과 남남서의 방향으로 70도 기울어진 형태로 엇갈리며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 단층면의 폭과 길이는 각각 5km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속되는 여진으로 일부에서 대지진 가능성이 제기되는 데 대해 지질연은 경주지진의 원인이 된 단층에 응축된 힘은 강진이 발생했을 때 대부분이 방출됐고, 이후 여진을 통해 점차 안정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지질연은 한반도 동남권 지역에 단층의 존재가 다수 확인돼 단층운동에 따른 지진재해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며 추가로 지질조사와 탄성파 탐사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