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어령 "문학의 산타클로스였던 사람"…故 박맹호 빈소 조문행렬

한국 출판계의 거목이었던 고(故) 박맹호 민음사 회장의 빈소가 차려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는 23일 조문객들의 발길이 이틀째 이어졌다.

서울대 문리대 동기로 만나 평생의 벗으로 지냈던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은 이날 아침 일찍 빈소를 찾았다.

이 전 장관은 "고인은 '문학의 산타클로스'"라면서 "자기가 이루지 못한 것, 작가가 되려고 했던 꿈을 출판을 통해 남들에게 이뤄준 사람 아니냐"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많은 사람이 고인을 출판인으로 기억하지만, 전 소설을 지망하던 시절부터 사귀었던 사람으로서 애도하러 온 것"이라면서 "사회적으로 성공했음에도 남을 포용할 줄 알고 착하고 삶도 깨끗했던 친구"라고 회고했다.

1977년 민음사 계간지 '세계의 문학' 초대 편집위원을 맡았던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와 유종호 연세대 전 석좌교수는 함께 앉아 고인을 추억했다.

민음사에서 첫 평론집 '궁핍한 시대의 시인'(1977)을 출간했던 기억을 떠올린 김 교수는 "책을 내지 않겠다고 버텼는데 박 회장이 유종호 선생과 함께 집까지 찾아와 설득했다"면서 "절 문학의 세계로 인도했으니 은인 중의 은인"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작가가 잘되려면 출판이라는 하부구조가 잘 뒷받침해줘야 한다"면서 "사실 수지타산이 잘 맞아야 하는 것이 사업인데 고인은 그 속에서도 좋은 책을 내야 한다는 걸 잊어버리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유 전 교수는 "무엇보다 기획력이 뛰어났던 분"이라면서 "유신 말기라 잡지 허가가 안 나오는 걸 알고, (국내 문제는 다루지 않겠다는) 일종의 위장술로 '세계의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삼국지' 연재를 제안한 쪽도 박 회장이었다"면서 "당시 젊은 이문열이 자기 작품을 쓰려고 하지, 삼국지 번역을 안 하려 했으나 박 회장 설득으로 연재를 시작해 결국 베스트셀러가 된 것만 봐도 그 기획력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