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발전소 만들어도 송전망은 부족…'가동 제한' 가능성

정부가 전기 공급 확대를 위해 발전설비를 증설하고 있지만 생산한 전기를 소비자한테 전달해줄 송·변전설비 증설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자칫 무용지물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23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석탄화력발전소가 몰려 있는 충청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멀쩡한 발전소가 송·변전설비 부족으로 가동을 못 하는 '송전 제약'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송·변전설비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멀리 떨어진 가정·공장·사무실 같은 수용가로 보내는 데 필요한 설비입니다.

전기를 멀리 보내려면 전압을 크게 높인 뒤 송전시설을 통해 보낸 다음 수용가 근처에서 다시 전압을 낮춰야 합니다.

국내에 많이 건설되는 석탄·원자력발전소는 그 특성상 전력의 주 소비처인 수도권에서 떨어진 해안가에 지어지기 때문에 이런 송·변전설비가 필수적입니다.

실제로 충남의 신당진변전소와 신서산변전소에 연결된 345㎸ 송전선로의 송전 허가용량은 모두 4GW인데 이미 서부발전의 태안 1호기∼8호기가 허가용량을 다 쓰고 있습니다.

여기에 1GW 용량의 태안 9호기가 작년 10월 완공됐고, 역시 1GW짜리 태안 10호기도 올 1분기 중 완공될 예정입니다.

발전소의 총 설비용량은 6GW인데 송전할 수 있는 용량은 이보다 2GW 적은 4GW에 불과한 것입니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추가로 지어진 발전소를 돌리려면 기존 발전소는 발전량을 일부 줄이거나 선별적으로 가동을 멈추는 게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송전망 추가 건설은 쉽지 않습니다.

장거리 송전망은 1㎞ 건설에 약 120억원 정도가 투입되는 고비용 사업인 데다 장소 선정에서 완공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또 송전망이 지나거나 송전탑이 들어서는 지역의 주민들 반발이 커 합의를 끌어내려면 설득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보상·지원 등을 위한 추가 비용도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송전망 건설에 막대한 사회적·경제적 비용이 들어가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수요처 인근에 발전소를 짓는 '분산형 전원'을 확대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