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선관위 "대선경선 관리 어렵다" 통보…민주당 경선에 영향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대통령 궐위시 60일 이내에 대선 본선거를 준비해야 한다는 이유로 어려움을 내세워 각 당의 후보경선 관리위탁을 맡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각 당은 대선일정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선관위의 지원까지 받지 못하게 돼 경선관리에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관위 관계자는 "대선후보 경선을 치르려면 후보자등록 등 규정된 절차에만 75일 정도가 소요된다"면서 "원래대로 12월에 대선을 치르면 상관이 없지만, 지금 각 당의 후보경선을 선관위가 맡게 되면 본선과 일정이 겹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장 다급해진 건 설 연휴 전에 후보등록을 마치겠다고 밝혔던 더불어민주당입니다.

민주당 경선규칙을 조율 중인 당헌당규위원회는 오늘 국회에서 심야 회의를 갖고서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양승조 위원장은 회의 후 "선관위는 규정상 후보 등록 20일 전까지 밖에 관리해주지 못한다고 공문을 보내왔다"면서 "대선은 선거일 24일 전에 후보등록을 하게 돼 있으니 선관위는 대선 44일 전까지만 관리해줄 수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습니다.

간사인 금태섭 의원 역시 "헌재에서 탄핵심판이 인용되면 60일 후 바로 대선 아니냐"라면서 "결국 선관위가 관리해줄 수 있는 것은 16일에 불과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금 의원은 이후 "사실상 경선 전체 과정을 선관위가 맡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면서 후반부는 당에서 맡아서 경선을 치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이번 경선의 '뜨거운 감자'로 꼽히는 결선투표제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양 위원장은 "사실상 선관위 관리 하에 결선투표제를 치르기는 불가능해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양 위원장은 "선관위가 맡을 수 있는 것은 잘해야 본경선 까지일 것"이라면서 "후보들이 결선투표를 원한다면 결국 당이 관리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이 경우 일각에서 당 관리의 공정성 등을 문제삼아 잡음이 생길 우려도 나옵니다.

다른 당도 상황을 마찬가지일 걸로 보입니다.

새누리당 김명연 수석대변인은 "당내 경선이 곧 대통령 후보 경선이기 때문에 공정한 관리를 위해서는 선관위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선관위가 각 당에 최대한 지원을 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면서 "새누리당은 일부 지원이라도 받아서 원만한 경선이 이뤄지도록 자체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경선을 서두를 필요는 없다"면서 "대권 후보들이 (당에) 들어오면 함께 논의해 결정해도 늦지 않을거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박 대표는 "정당의 입장에 맞게 협력해주는 게 선관위가 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바른정당 장제원 대변인은 "정당의 경선은 공공성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어렵더라도 선관위에서 후보 경선을 관리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