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번 춘제 장사 망했다는 얘기까지"…한국 관광업 특수실종 '비상'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우리 설에 해당)'를 앞두고 관광업계에 비상이 걸렸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습니다.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성 조치가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춘제 '특수'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입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오늘(15일) "1월 들어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많이 줄고 있다"며 "우리 회사의 경우 패키지 관광객 수가 반 토막이 났다"고 말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광업계 관계자는 "현지 분위기로 볼 때 '이번 춘제 장사는 망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며 "예전에는 단체 여행상품 내놓으면 바로 팔렸는데 요즘은 상품 자체가 줄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큰 국내 면세점들의 표정도 어둡습니다.

면세점업계 관계자는 "작년 춘제보다는 중국인 관광객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일단 한국으로 오는 관광상품 수가 많이 줄어서 단체관광객 유치에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현지 일부 여행사에 한국행 여행객 수를 20% 줄이라는 구두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으며 최근에는 한국·중국 항공사들의 중국발-한국행 전세기 운항을 불허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현지여행사들은 최근 한국 관광상품 수를 줄이는 추세이며, 과거와 달리 한국행 상품 홍보에도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 전체 중국인 관광객 증가세도 둔화하고 있어 사드 배치 여파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국인 관광객 수는 꾸준히 증가해 7월에는 91만7천519명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8월부터 넉 달 연속 감소해 11월에는 51만6천956명으로 줄었습니다.

전년 대비 중국인 관광객 증가율도 7월 258.9%, 8월 70.2%, 9월 22.8%, 10월 4.7%, 11월 1.8%로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면세점과 백화점 등의 매출도 주춤하고 있습니다.

롯데면세점의 지난 9월 중국인 매출 증가율은 전년 대비 기준으로 50% 수준이었으며 최근 30% 선으로 내려왔습니다.

신라면세점은 중국인 매출 증가율은 9월부터 20%대를 보이면서 둔화세입니다.

신규 면세점들은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인 관광객 및 매출 증가율 둔화는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인한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관광객 수 자체도 최근 감소하는 등 사드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대안으로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싼커(散客)'로 불리는 개별관광객을 공략하는 것이 꼽힙니다.

중국인들의 관광 형태가 단체에서 점차 개별관광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개별관광객은 정부의 규제에서 한발 벗어나 있기도 합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11일 중국이 사드 배치를 놓고 한국을 압박하고 있으나 한국관광을 정책적으로 막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