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맹장은 쓸모가 있었다…과학자들 '면역체계 기여도' 확인

맹장은 쓸모가 있었다…과학자들 '면역체계 기여도' 확인
사람 몸에 없어도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알려진 장기, 맹장의 역할은 무엇일까?

현지시간으로 12일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미국 애리조나 미드웨스턴대의 연구 결과 맹장이 우리 몸에 유익한 박테리아의 저장고 역할을 해 면역체계 유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헤더 스미스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맹장의 진화를 알아보기 위해 533 종 포유류의 내장과 그 환경 특성을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은 맹장이 각기 다른 종에서 각각 30차례에 걸쳐 진화했으며, 대다수의 경우 맹장이 한 번 나타나면 진화 혈통에서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맹장이 있는 동물은 내장 내 림프 조직의 밀도가 높았는데, 이는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림프 조직은 몸에 이로운 영향을 끼치는 종류의 박테리아가 자라도록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박테리아는 맹장에 보관되는 까닭에 설사병과 같은 재난을 겪더라도 모두 소실되지 않습니다.

스미스 부교수는 "맹장을 제거한 사람들, 특히 몸에 이로운 소화관 박테리아가 몸에서 모두 빠져나간 사람들은, 질병에서 회복되는 시간이 조금 더 오래 걸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구촌에서는 지역을 불문하고 맹장이 위험할 정도로 부풀어 올라 병원 신세를 지는 환자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능이 뚜렷하지 않은 채 골칫거리로만 몰린 탓에 맹장이 진화 때 사라지지 않은 이유, 그 존재 자체가 미스터리로 인식되곤 했습니다.

맹장염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의사들은 맹장 입구가 막혀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평균 성인 맹장의 길이는 5∼10㎝ 정도이며, 지름은 6∼8㎜ 수준입니다.

또한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나 토끼와 같은 일부 동물은 맹장을 갖고 있지만 개나 고양이 등은 맹장이 없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