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방송작가협회장 "대통령 드라마 애청에 공포 가까운 전율"

김운경 이사장 "정의와 진실 동반한 프로그램에 한몫해야"

온 나라를 마비시킨 '최순실 게이트'가 웬만한 TV 드라마를 압도하는 상황에서 김운경(63)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장이 박근혜 대통령의 연속극 애청을 비판하면서 방송작가들의 각성을 촉구했다.

김운경 이사장은 월간 '방송작가' 신년사에서 "어이없고 저열한 순실의 시대. 온갖 정치적 음모와 사술, 협잡, 몰상식이 판을 쳤다"면서 "우리에겐 이 저열한 순실의 시대를 새로운 각성의 시대로 자리매김해야 할 작가적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방송작가들 사이에서 이런 시국에 드라마를 쓰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는 자조가 나오는데, 김 이사장은 이럴 때일수록 작가들의 책임이 중요하다고 말한 것이다.

김 이사장은 "진정 새 시대를 만드는 것은 우리 방송작가들의 몫"이라며 "정의와 진실을 동반한 프로그램에 한몫하겠다는 작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940~50년대 미국을 휩쓴 매카시 광풍에 맞섰던 CBS 앵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굿나잇 앤 굿럭' 속 대사를 인용했다.

"대중은 골치 아픈 것을 싫어한다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얘기하고 싶군요. 그런 결론에 반대할 증거는 얼마든지 있다고요. TV는 단순한 오락기계가 아닙니다. 때로는 가르치고 계몽하고 영감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노력이 없는 한 TV는 영원한 바보상자로 전락할 것입니다"라는 내용이다.

김 이사장은 또한 "대통령의 얼굴에 대고 보톡스냐? 프로포폴이냐? 필러냐를 따져 물어야 하는 이 슬픈 나라. 불행한 국민…(중략) 대통령이 저녁마다 보는 것은 경제학 서적이 아닌 TV연속극. 저도 TV 연속극을 써왔던 작가지만…그야말로 공포에 가까운 전율이 일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당선 전 차병원그룹 건강검진센터 차움의원을 이용하면서 인기 드라마 '시크릿 가든' 여주인공 이름인 '길라임'을 가명으로 써 불거진 각종 의혹을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

김 이사장은 '한지붕 세가족' '서울 뚝배기' '형' '서울의 달' '옥이이모' '파랑새는 있다' '짝패' '유나의 거리' 등 숱한 히트작을 내며 30여년 간 드라마 작가의 대표주자로 활약해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