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정은 체제 이후 '감시 강화'로 가족 단위 탈북민 감소세"

"김정은 체제 이후 '감시 강화'로 가족 단위 탈북민 감소세"
김정은 체제 들어 주민 감시활동이 강화돼 가족 단위로 북한을 탈출해 국내에 입국하는 사례가 줄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탈북민 정착지원기관인 남북하나재단은 오늘(12일) 2015~2016년 전체 탈북민 대비 가족 단위 탈북민 비율은 44%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가족 단위 탈북민 비율은 2000~2002년 38%에서 꾸준히 상승해 2009~2011년 54%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그러나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후인 2012~2014년에 52%로 상승세가 꺾였고 최근 2년간은 그 비율이 절반 이하로 줄었습니다.

장인숙 하나재단 선임연구원은 "김정은 체제 들어 주민들에 대한 감시통제가 심해져 가족 단위보다 개별적으로 탈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2년간 입국한 가족단위 탈북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이들은 가족 단위 입국 이유에 대해 '가족을 따라서'(20.2%)라고 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남한에 미리 정착한) '가족을 찾아서' (14.4%), '자녀에게 좋은 미래를 주기 위해' (9.3%) 등의 순으로 답했습니다.

배우자 출신 지역은 북한이 45.2%로 중국(28.3%)이나 남한(25.6%)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5명 중 1명꼴(19.7%)로 취학 전 자녀를 키우고 있었습니다.

자녀 출생국은 남한(86.3%)이 압도적으로 많고 중국(7.7%), 북한(4.6%), 기타(1.0%) 등의 순이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