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평창패럴림픽 성공 위해 장애인 시설 확충…총사업비 158억 원

2018년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성공 개최를 위해 정부와 강원도가 장애인 시설을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평창조직위원회, 강원도, 강릉시, 평창군, 정선군, 한국관광공사는 오늘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무장애 관광도시 창출' 업무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2년간 사전 조사한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음식점과 숙박시설 등 민간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총사업비로 157억 8천만원을 책정했고 이미 55억 5천만원을 지원했습니다.

행정자치부는 이미 공중화장실 개선을 위해 특별교부세 18억 5천만원을 지난해 12월에 집행했습니다.

행정자치부는 관련 기관, 단체 등으로 협의체를 구성해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과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건복지부는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협력해 개최도시 편의시설 실태를 조사하고 편의시설 설치에 필요한 기술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장애인 콜택시 차량 구입비 28억원(139대)과 저상버스 차량구입비 18억원(44대) 등 총 46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평창 조직위는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의 접근성 기준과 국내 관계 법령을 반영해 대회 시설에 장애인 관람석(전체관람석 1% 이상)과 경사로, 승강기 설치를 주도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숙박 부문에서 선수촌 440세대 중 182세대를 휠체어 참가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객실로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강원도와 개최도시(강릉, 평창, 정선)는 민간시설(음식, 숙박, 관광) 733개소와 공중화장실 62개소를 정비하기로 했습니다.

강원도와 개최도시는 음식점 556개소와 숙박시설 141개소, 공중화장실 62개소에 장애인주차장과 경사로를 개선하기로 했고 특히 음식점의 경우 휠체어 이용 장애인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입식 식탁 설치 등 개선 사안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