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드 갈등 속 중국, 한국 화장품 무더기 수입 불허

한국과 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를 놓고 갈등을 빚는 가운데 최근 한국산 화장품이 무더기 수입 불허 조치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습니다.

수입 불허로 반품 조치된 한국산 화장품만 11t에 달해 국내 화장품 업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은 지난 3일 '2016년 11월 불합격 화장품 명단'을 발표했는데 수입 허가를 받지 못한 제품 28개 중의 19개가 애경, 이아소 등 유명 한국산 화장품이었습니다.

해당 한국산 제품만 총 만1천272㎏에 달하며 모두 반품 조처됐습니다.

불합격한 한국산 화장품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팩 등 중국에서 잘 팔리는 제품이 거의 다 포함됐으며, 28개 불합격 제품 중 영국산과 태국산 화장품을 빼면 19개 모두 한국산이었습니다.

유효 기간 내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다는 등록 증명서가 없다거나 신고 제품과 실제 제품이 달라서, 또 성분함량 초과나 변경 같은 이유로 수입을 불허 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들 제품은 지난 11월에 허가를 받지 못한 한국산 화장품들로 질검총국이 관련 조치를 한 뒤 이번에 발표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수입 불허 대상 화장품 중 유독 한국산이 다수를 차지해 최근 사드 등의 문제로 인해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서도 규제가 강화된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연예인 출연 금지 등을 해온 금한령이 거세질 경우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 한류 연예인과 더불어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한국 화장품이 다음 목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관영 환구시보는 지난 7일 '한국이 사드 때문에 화를 자초하고 있다'는 제하의 사평(社評)에서 "중국인들은 한반도 상황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갖고 있으며 한국이 미국 편에 서기로 선택한다면 한국 화장품 때문에 국익을 희생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위협한 바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과 한국콜마 등 한국 화장품 관련기업들의 주가도 사드 배치로 한·중 갈등이 커지면서 주가가 급락한 상태입니다.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지난해 7월 8일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를 공식 발표한 이후 지난 9일까지 6개월 만에 반토막이 났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