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조업 취업자 7년 만에 첫 감소…"연초 더 어려울 것"

조선·IT·해운 등 대기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여 만에 처음으로 줄었습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지난달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2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1천263만 7천 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29만 1천 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증가 폭은 전년 같은 달의 44만 3천 명보다 크게 낮아졌습니다.

특히 고용규모가 358만 1천 명으로 전 업종 중 가장 큰 제조업은 장기적인 수출 부진과 구조조정 등으로 400명 줄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월 이후 7년 2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가 6만 1천 명 증가했고 숙박·음식 4만 7천 명 늘어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추세는 둔화하고 있습니다.

취업자 증가율은 숙박·음식업이 9.8%로 가장 높았고 이어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 5.7%,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5.4% 등이었습니다.

제조업 중에서 고용 악화를 주도한 것은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치는 조선업이었습니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2015년 말까지 고용이 늘었으나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지난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

더구나 지난해 6월 1만 2천 명이던 취업자 감소 폭은 8월 2만 2천 명, 10월 2만 5천 명에 이어 12월에는 3만 1천 명까지 커졌습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2015년 말 고용규모는 21만 명에 달했으나, 지난해 11월에는 17만 9천 명까지 줄어 고용규모가 15% 가까이 급감했습니다.

제조업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2월 취업자 수가 1만 3천 명이나 감소했습니다.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매출이 늘어난 데다, 한류 영향으로 수출도 호조를 보이는 식료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 2천 명 늘어 25만 8천 명에 달했습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가 24만 1천 명, 2.7% 증가했지만 300인 이상 대기업은 5만 명, 1.5%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취업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50대로 13만 명, 5.7% 증가했습니다.

반면에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30대가 3만 8천 명, 1.1% 감소했습니다.

실직으로 12월 구직급여를 신규 신청한 사람은 7만 9천 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1천 명 감소했습니다.

고용부 관계자는 "조선·해운 등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제조업 취업자 수가 7년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며 "중국과의 치열한 경쟁 등으로 IT·전자산업 고용이 계속 줄고 있는 것도 우려스럽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