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에 연루돼 한때 존립 위기를 맞았던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가 내년에도 정상 운영될 전망이다.
내년 예산 중 시비는 전액 철회됐지만, 국비가 국회에서 소폭 삭감되는 데 그쳐 지원 여력이 생긴 탓이다.
28일 서울시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운영 예산으로 국비 30억850만원, 시비 20억원 등 총 50억850만원을 사용했다.
내년 예산으로 센터는 올해보다 소폭이나마 증액된 규모의 예산을 기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센터 관계자는 "올해 사업 실적 등을 바탕으로 내년에 거점센터 사업을 비롯해 콘텐츠 기획, 교육, 민간창업센터 연계 사업 등 새로운 계획도 마련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런 서울센터의 기대는 지난달 10일 서울시가 내년도 예산으로 편성했던 20억원을 전액 철회했다고 발표하면서 물거품이 되는 것처럼 보였다.
창조경제센터 모범사례로 꼽혔던 아이카이스트 부사장이 최순실씨의 전 남편 정윤회씨의 동생인 정민회씨로 드러나고, 아이카이스트 김성진 대표가 사기 혐의로 구속되는 등 센터가 국정농단 사례로 드러나면서 의혹과 비판이 쏟아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 예산의 40%가량을 차지하는 서울시 지원이 끊기고, 국회에서 전국 센터의 운영 예산에 대한 대규모 삭감이 논의되면서 센터 존립 자체가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는 이달 3일 새벽 국회가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관련 국비 예산으로 436억5천만원을 통과시키면서 불식됐다.
국회가 통과시킨 예산은 당초 미래창조과학부가 제출한 안보다 36억원 줄어드는 데 그쳐, 대폭 삭감이라는 칼날을 피했다.
뿐만 아니라 이 예산은 작년과 비교하면 오히려 118억원이 늘어난 것이어서 내년 센터 운영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는 "내년 예산이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거점센터인 서울센터의 위상을 고려할 때 미래부가 내년 센터 운영에 지장이 없는 수준으로 시비 철회분까지 보존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센터 역시 내년에 긴축 운영을 통해 입주 기업과 관계자들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지원하려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시비 삭감 소식에 술렁이던 65개 입주 기업, 250여명 관계자도 국회 예산 통과 소식에 안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예산 문제 등으로 센터 운영이 어려워지더라도 스타트업과 입주 기업인에 대한 지원이 끊기지 않도록 희망 업체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창업지원시설로 이전해 맞춤형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