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계(식용 닭) 농가에서도 AI 의심신고가 접수되면서 산란계에 집중된 피해가 육계로 불똥이 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경기 여주와 충남 천안에 있는 육계 농가에서 잇따라 AI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이들 농가는 각각 6만 마리, 4만 9천 마리씩 사육하고 있다.
앞서 육계 농가 1곳에서 AI 양성반응이 나오긴 했지만, 비교적 규모가 크고 상업적 목적으로 육계를 사육하는 농가에서 의심신고가 접수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당국은 고병원성 여부를 조사하고 있으나, 그동안 AI 의심신고가 100% 확진 판정이 났다는 점을 고려하면 육계도 더는 AI 바이러스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의미가 된다.
김경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여주와 천안 모두 산란계 농가에서의 AI 발생 등의 영향으로 이미 오염된 지역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산재한 것으로 보고 육계 쪽에 조치하고 있다"며 "다만 육계 농가의 사육시스템을 볼 때 차단 방역이 비교적 잘 되기 때문에 산란계 농가처럼 번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미 AI 여파로 육계 소비 감소가 현실화한 데다 방역조치 여파로 육계 농가 절반이 사육할 병아리를 새로 들여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육계에서까지 의심신고가 나오면서 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될 전망이다.
이와함께 농식품부는 전날 인천에 있는 24마리 규모의 소규모 토종닭 농가에서도 의심신고가 접수되는 등 소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방역의 사각지대가 있는 것으로 보고 100마리 미만의 소규모 농가의 방목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지자체 자체적으로 소규모 농가에 대해 방역조치를 했지만, 이를 전국 단위로 확대한 것이다.
김경규 실장은 "확진 건수보다는 의심신고가 들어오는 추이를 보고 있는데 열흘 전에는 10건 내외로 들어오다가 최근에는 5건 내외로 줄었다"며 "다만 육계에서 최초로 2건이 접수되는 등 특이사항이 있어 이 부분에 중점을 두고 방역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열린 AI 관련 관계부처 차관 및 시도부단체장 회의에 참관해 향후 1주일간 AI 발생 현황을 진정세로 바꾸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황 권한대행은 특이사항이 없는 한 당분간 AI 관련 대책 회의에 매일 참석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