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왕실장' 김기춘에 포화…꼿꼿한 자세로 '모르쇠' 답변 일관

'왕실장' 김기춘에 포화…꼿꼿한 자세로 '모르쇠' 답변 일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알지 못하는 사실입니다"(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이 자리에서 깊게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7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2차 청문회에 참석한 증인들은 한결같이 '모르쇠'와 '잡아떼기'로 일관했다.

침울한 표정으로 바닥만 쳐다보거나, 긴장감 속에 연거푸 물을 마시고, 꼿꼿이 앉아 정면만 보는 등 제각기 다른 모습이었지만 대답은 한결같이 똑같았다.

이날 청문회는 출석대상 증인 27명 중 절반 가량이 13명만 참석한 '반쪽 청문회'였다.

특위는 질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참석하지 않은 최순실씨 등 11명에 대해 동행명령장을 발부하면서 초반부터 팽팽한 긴장감이 나돌았다.

증인 가운데 구속된 피의자 신분으로 법무부 호송차를 타고 가장 먼저 국회에 도착한 김 전 차관과 차은택씨는 기자들의 질문에 입을 열지 않고 황급히 청문회장에 입장했다.

청바지에 남색코트 차림으로 교도관의 팔짱을 낀 채 청문회장에 들어온 차씨는 답변할 때 외에는 고개도 잘 들지 못하는 등 몹시 긴장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대표로 증인선서를 할 때도 목소리가 갈라지고 입술이 바싹 말랐으며, 낭독 후 선서문을 김성태 특위 위원장에게 전달할 때는 90도로 허리를 숙였다.

이밖에도 손바닥을 허벅지에 문지르거나 한숨을 쉬기도 했다.

김종 전 차관은 답변할 때조차 의원들을 잘 바라보지 못했다.

'피겨 여왕' 김연아씨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던 것을 사과할 때는 고개를 연신 끄덕이며 진정성을 강조하려 애썼다.

증인 일부가 너무 위축된 모습을 보이자 김성태 위원장은 의원들에게 "구속 신분의 피의자들도 있지만 인격 모독적 발언은 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반면 이날 가장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김기춘 전 비서실장은 국회 입장 때부터 입을 열지 않았고 청문회장 내에서도 미동없이 꼿꼿하게 앉아 있었다.

특히 '세월호 7시간'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의원들의 매서운 질문이 주로 자신에게만 집중될 때도 감정의 동요 없이 "알지 못한다", "사실이 아닙니다", "관여한 바 없습니다"를 반복했다.

김 전 실장이 담담한 태도로 답변을 이어가자 뒷줄에 앉은 김재열 제일기획 사장은 자신이 더 긴장되는 듯 침을 꿀꺽 삼키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고영태 전 더블루케이 이사는 빠른 걸음으로 별도의 말 없이 국회에 입장했으며, 청문회장 내에선 심각한 표정으로 주변을 둘러보며 물을 연거푸 마셨다.

최순실씨와의 관계를 묻는 말에는 "직원을 사람 취급하지 않는다"고 답하고 나서 자리에 힘없이 털썩 주저앉기도 했다.

지팡이를 짚은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국회에 도착하자마자 유일하게 입을 열었다.

그는 "죄송하다"를 연발하며 "왜 이렇게까지 됐나 하는 생각에 참담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 역시 청문회장에서 구부정한 자세에 침울한 표정으로 눈만 감았다 떴다를 반복했다.

이밖에 이종욱 KD코퍼레이션 대표와 정현식 전 K스포츠재단 사무총장 등 다른 증인들도 답변 관련 서류를 읽으며 긴장감 속에 질의에 대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