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실 중소기업 176곳 구조조정行…2년 연속 금융위기 이후 최다

중소기업 176곳이 워크아웃·법정관리 등 구조조정에 들어갑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몰아닥쳤던 2009년 이후 7년 만에 최대 규모입니다.

이들 기업 중 제조업체 비중이 70%를 넘어서는 등 중소기업들이 조선·전자·자동차 등 한국 경제를 떠받쳐온 주력산업 부진의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오늘(6일) 발표한 '2016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176곳으로 작년보다 1곳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상장사도 2곳 포함돼 있습니다.

2011년 77곳이었던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은 2012년 97곳, 2013년 112곳, 2014년 125곳 등 5년 연속 증가세입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한 해 3차례나 신용위험평가를 단행해 한계기업을 정리했던 2009년,512곳 이후 가장 큰 규모입니다.

신용위험도는 A∼D 네 등급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C·D등급이 구조조정 대상입니다.

올해는 부실 징후가 있지만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 중소기업이 70곳으로 지난해보다 1곳 늘었습니다.

이들 기업은 신용위험 평가 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3개월 내로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경영 자구안을 제출해야 합니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어 사실상 '퇴출 대상'인 D등급 기업은 105곳으로 작년과 같았습니다.

D등급 기업은 채권은행의 추가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하거나 법정관리에 들어가야 합니다.

C·D등급 기업이 작년보다 1곳 늘었지만, 신용위험 평가 대상이 된 기업,2천35곳은 100곳 넘게 증가했습니다.

재무상태가 나빠진 중소기업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금감원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즉 연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이거나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회사, 자본이 완전잠식된 회사 등을 대상으로 신용위험 세부평가를 합니다.

수출 부진과 조선 등 주력산업 구조조정 여파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 71%를 제조업체가 차지했습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제조 중소기업은 125곳으로 작년보다 20곳 증가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제품 22곳, 전자부품 20곳, 기계장비 19곳 순서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많았습니다.

특히 금속가공제품 분야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1년 새 14곳이나 늘었습니다.

주로 자동차·해양플랜트 등에 들어가는 금속 구조물을 만드는 2차 협력업체들입니다.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 통계를 보면 국내 제조업체들의 매출액은 2014년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데 이어 2015년에도 감소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