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박 대통령, 이르면 내일 4차 담화…'내년 4월 퇴진' 공식화

박 대통령, 이르면 내일 4차 담화…'내년 4월 퇴진' 공식화
박근혜 대통령은 이르면 내일 대국민담화를 하고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채택한 '4월 퇴진·6월 대선'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피력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 대통령의 이번 담화는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파문이 불거진 이후 네번째가 됩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진퇴를 국회에 맡기겠다"고 했을 뿐 분명한 퇴진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민심이 돌아서지 않는데다, 새누리당 비주류가 오는 9일 탄핵안 의결에 동참키로 하는 등 탄핵 추진이 임박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은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에 출석해 "국민 뜻에 따라 대통령이 답을 주셔야 할 시기"라면서 "곧 결단을 내릴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허원제 정무수석도 "당론에 대해서 대통령도 당원의 한사람으로서 당론 결정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고 한 뒤 '박 대통령이 모든 일정을 분명하게 밝혀줬으면 한다'는 지적에 대해 "당론 수용이 그런 뜻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새누리당 비주류는 어제 탄핵안 표결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으며, 당 최고위원회는 오늘 박 대통령에게 '4월 퇴진·6월 대선' 당론에 대한 조속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모레까지는 담화를 할 것으로 본다"면서 "다른 길이 없지 않느냐"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청와대는 그러나 담화 형식이나 내용에 대해선 "대통령의 결단 사항"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습니다.

한 비서실장도 "중요한 결단을 내릴 것"이라면서도 "아직 구체적인 말씀은 드릴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박 대통령은 여야 합의로 국회에서 결정하는 일정과 법 절차에 따라 물러나겠다는 지난달 29일 3차 담화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퇴진 시기를 내년 4월로 정한 새누리당 당론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 비서실장도 "국정이 안정적이고 평화롭게 헌정질서에 따라 이양되도록 하는 것도 대통령의 책임"이라면서 "조기 퇴진에 있어서도 안정적 절차, 법적인 절차로 해서 퇴진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4차 담화가 탄핵열차를 막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