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쇼크'에 채권투자자 지난달 2천조 원 손실…26년 만에 최악

'트럼프쇼크'에 채권투자자 지난달 2천조 원 손실…26년 만에 최악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선거 승리 이후 채권시장이 내리막길에 들어서면서 채권 투자자들이 26년 만에 최악의 한 달을 겪었습니다.

채권 투자자들은 11월 한 달 동안 2천조 원에 가까운 손실을 봤고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1년 반 만에 최고로 뛰었습니다.

24개 선진·신흥시장 채권을 아우르는 블룸버그 바클레이스 글로벌 총 수익 지수의 시가총액은 11월에 1조7천억 달러(약 1천992조원) 줄어들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이 지수는 11월 한 달 동안 3.97% 하락하면서 1990년 이래 약 26년 만에 가장 큰 월간 낙폭을 보였습니다.

안전자산인 채권시장은 1990년부터 지금까지 사반세기 이상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트럼프 당선을 기점으로 추락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정권이 들어설 경우 미국에서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시작되고 인플레이션(물가인상)과 기준금리 인상이 연달아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 때문입니다.

미래 수익이 고정된 채권의 경우 물가가 오르면 수요가 줄어들고 가격이 하락합니다.

트럼프발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채권시장에서 자금이 빠지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트럼프 당선 직후 두 주일 동안 미국 채권 펀드에서만 107억 달러가 빠져나갔습니다.

라보뱅크의 매슈 케언스 전략가는 "시장은 눈에 띄게 빠른 속도로 트럼프 정권의 경기 부양책에 대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채권 금리도 가파르게 치솟고 있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1일 장중 전날보다 12bp(0.01%포인트) 오른 2.49%를 기록했다고 CNBC 방송은 전했습니다.

채권의 금리가 올랐다는 것은 가격 하락을 의미합니다.

미국 금리가 이처럼 오른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1년 반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30년물 국채금리는 3.15%까지 기록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기대와 맞물려있는 2년물 국채금리는 1.17%를 보였습니다.

닛코 자산운용의 로저 브리지 금리·외환 글로벌 투자전략가도 "많은 사람이 채권시장의 상승세는 이제 끝났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