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재인, 박 대통령 3차담화에 "즉각 퇴진 수준까지는 가야"

"대통령 퇴진후엔 헌법절차 따라야"…대선 당겨지는것 불가피

문재인, 박 대통령 3차담화에 "즉각 퇴진 수준까지는 가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 후 국정공백 수습책과 관련, "탄핵이 되든 대통령이 하야하든 시기가 문제지 다음 대선이 앞당겨지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며 "그것이 국정혼란과 국정공백을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종로구 마이크임팩트 스퀘어에서 '국정교과서 폐기 위한 학부모·교사와의 대화'를 진행한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문 전 대표는 "대통령 퇴진 후 조기대선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기본적으로 헌법절차를 따르면 된다. 탄핵·사퇴 이후의 절차는 헌법이 정하고 있다"며 "헌법절차를 따르면 되고 다른 선택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전날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조기대선론에 대해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라면서도 "60일 조기 대선이 갑자기 닥쳐와 제대로 준비하기가 어렵다면 국민이 그에 대한 의견을 표출해줄 것이다. 국민의 공론에 맡기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을 두고 헌법을 벗어나 대선 시기를 더 늦출 수 있다는 뜻이라는 해석이 나오며 일각에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문 전 대표는 "탄핵의 경우엔 다른 여지가 없지만 사퇴를 한다면 기한을 정하는 등 이런저런 조건을 달아 대선까지 더 많은 시간을 가질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만일 그런 일이 있다면 그 경우에는 국민이 수용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이었다"고 설명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오후 대통령 담화가 예정된 것에 대해서는 "3차 담화라면 즉각 퇴진 수준까지 가야 한다. 그래야 촛불 민심에 부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차, 2차 담화하고는 달라야 한다. 보통 사람들도 잘못을 하면 사과를 하고 책임지고 벌을 받지 않나"라며 "그런 입장이라면 우선 검찰 수사부터 성실하게 임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라고 했다.

한편 문 전 대표는 정부가 발표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해서는 "제가 당 대표를 할 때 국정화 방침이 발표돼 제가 열심히 반대 운동을 했었다. 내용을 보니 역시나 우편향 교과서이자 친일 독재를 미화하는 교과서다"라며 "1948년 8월15일 한국이 수립됐다고 기술해 헌법정신을 부정한 반헌법적 교과서"라고 비판했다.

이어 "유럽은 자유 발행으로 하고 있다. 국정교과서 제도 자체가 지금 시대에 맞지 않고, 검인정제도 역시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며 "국정교과서를 반드시 막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