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최후의 결단 남은 박 대통령, 탄핵 승부냐 명예퇴진이냐

최후의 결단 남은 박 대통령, 탄핵 승부냐 명예퇴진이냐
'탄핵 외길'로 치닫던 박근혜 대통령에게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중진들이 건의한 '명예 퇴진' 카드가 사면초가에 몰린 박 대통령이 잡을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다음달 2일로 예정된 탄핵 '1차 시한'을 앞두고 박 대통령이 사실상 '나 홀로' 고심 중인 가운데 청와대 참모들도 언제, 어떤 결단을 내릴지 대통령의 입만 바라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로서는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고 탄핵까지 불사하는 쪽으로 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헌법에 정해진 임기를 다 채우지 않고 정국 수습 방안을 국회에 일임하는 식의 명예 퇴진은 헌법 정신 수호와 대통령의 책임을 강조해온 박 대통령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은 헌법적 가치를 중시하는 분"이라면서 "법적 테두리에서 벗어나는 것은 더 큰 혼란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오히려 야권과 여당 내 비박(비박근혜)계를 더욱 뭉치게 해 탄핵안 가결 가능성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박 대통령은 차라리 '공개 재판'의 성격을 지닌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을 통해 검찰과 언론 등이 제기하는 각종 혐의와 의혹을 소명해 억울함을 풀고 탄핵안 부결까지 노려보는 게 낫다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면 헌재가 탄핵안을 인용할 가능성이 큰 만큼 억지로 권좌에서 끌려내려오는 모양새보다는 최소한의 명예를 지키는 쪽을 선택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김현웅 전 법무부 장관이 일주일에 걸친 박 대통령의 만류에도 끝내 사의를 굽히지 않았고, 역사교과서 국정화 사업에서 교육부가 사실상 발을 빼려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는 등 박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이 급속도로 약화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여당 중진의 말씀이나 정치권 원로들의 건의를 가볍게 여길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 "굉장히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지금 상황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정계 원로들과 친박계 중진의 건의를 따른다는 명분으로 2선 후퇴를 선언하고, 여야 정치권에 과도 정부를 이끌 새 국무총리 추천과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일임한 뒤, 조기 대선을 치르게 한다는 이른바 '질서 있는 퇴각' 시나리오가 다시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이 경우 박 대통령이 물러나는 시기와 조기 대선 날짜는 본인이 직접 제시하기보다 정치권 합의 결과를 따르겠다고 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더라도 정치권이 탄핵 카드를 접거나 무력화해야 이런 시나리오를 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회 상황이 박 대통령의 결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