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박 대통령, 금명 '명예퇴진' 가부 결론…무조건 수용은 불가기류

박 대통령, 금명 '명예퇴진' 가부 결론…무조건 수용은 불가기류
박근혜 대통령이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을 비롯,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중진 의원들이 건의한 '명예퇴진' 방안과 관련해 30일까지는 거부 또는 수용을 결단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野) 3당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시점을 내달 2일로 설정한 가운데 박 대통령도 조만간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이 29일 전했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주가 상당히 중요하고 위중한 시기"라며 "박 대통령이 모든 상황을 엄중하게 보고 있으며, 박 대통령이 결정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참모는 "국회가 다음 달 2일 탄핵 표결을 추진한다면 1일에 입장을 밝히는 것도 늦다"며 "내일(30일)까지는 박 대통령이 심사숙고해서 명예퇴진 등 여러 옵션에 관해 결정을 내릴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최순실 사태와 관련해 위법행위가 공식 확인된 것이 없는 상황에서 스스로 물러나는 것은 대통령 5년 임기를 보장한 헌법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견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정치권 원로들이 지난 27일 박 대통령의 하야 선언과 내년 4월까지 퇴진 일정을 담은 '질서있는 퇴진'을 제시한 데 이어 친박 중진 의원들도 대통령 임기단축 등을 담은 명예퇴진을 건의하자 심사숙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박 대통령은 무엇보다 헌법적 가치를 중시하고 있는 만큼 청와대 참모들 사이에선 국회의 탄핵 논의 절차가 중단돼야 박 대통령이 명예퇴진 방안을 포함한 해법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됩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개최되는 새누리당 의원총회 상황을 주시하면서 명예퇴진론 수용 여부에 대한 입장을 구체화하고, 이를 토대로 3차 대국민 담화 여부도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각에서는 임기단축을 포함한 개헌은 헌법절차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이를 고리로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권 내에선 야 3당이 내달 2일 탄핵안 표결을 공론화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선택지는 별로 없다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