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관(75) 한국마사회장이 '비선 실세' 최순실 씨와 딸 정유라 씨를 특혜지원했다는 의혹 속에 내달 초 퇴진하는 가운데, 차기 마사회장 인선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마사회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 회장 후보자 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10명이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이양호 전 농촌진흥청장, 김영만 전 마사회 부회장 등 외부 인사들을 비롯해 박양태 마사회 현 경마본부장 등 내부 인사들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기업 중에서도 마사회의 경우 회장 등 임원진 인사를 놓고 잡음이 끊이지 않았는데, 역대 마사회장은 마사회 관련 업무 경력이 없는 정권의 최측근이나 고위 관료 출신 인사가 임명돼 '관피아' 혹은 '낙하산' 논란이 일었습니다.
내부 승진 케이스는 단 한 건도 없었고, 이렇게 임명된 회장들이 방만 경영을 하거나, 마사회 내부에서 인사 전횡을 일삼는다는 주장도 끊임없이 제기됐습니다.
현명관 회장의 경우도 첫 기업인 출신 회장이라는 타이틀 이면에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이라는 이유로 '청와대 낙하산'이란 꼬리표가 늘 따라다녔습니다.
임기 중에는 마사회가 설립한 산하재단 '렛츠런재단'에 자신이 과거 속했던 전경련과 삼성 출신 인사들을 대거 등용해 비판을 받았습니다.
더욱이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에는 삼성 출신인 현 회장이 최순실 씨와 삼성 간 다리 역할을 했다는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연임에 실패했습니다.
최순실 사태로 마사회에 시선이 쏠린 상황인 만큼 이번에야말로 마사회 업무에 정통한 인사가 회장으로 임명되고, 낙하산 인사 관행이 근절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마사회 관계자는 "청와대 상황으로 볼 때 회장 인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있기는 있다"며 "최근 일련의 사태가 있었던 만큼, 차기 회장 인사를 통해 마사회 이미지가 개선됐으면 좋겠다는 직원들의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