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헌법부정·친일독재 미화"…'국정교과서 폐기' 촉구 잇따라

"헌법부정·친일독재 미화"…'국정교과서 폐기' 촉구 잇따라
논란 속에 베일을 벗은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현장 검토 본이 28일 공개되자 전국의 교원·시민사회 단체들이 헌법 가치에 위배되고 친일 독재를 미화하는 내용이라고 거세게 반발하며 교과서의 폐기를 잇따라 촉구했다.

이들은 ▲1948년 8월15일을 대한민국 수립일로 서술한 점 ▲친일·독재 미화 ▲추진과정 및 집필진 구성 등 주요 쟁점을 조목조목 들어 집중 비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국정 역사교과서는 아버지 박정희의 치적을 강조하는 '박근혜 교과서'이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와 항일 독립 운동사를 축소한 '친일 독재미화' 교과서"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국정교과서는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수립일'로 서술, 독립운동의 정체성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 가치에 명백히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대전 지역 역사교사 단체인 한밭역사교사모임 남동현 회장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대한민국 수립'으로 변경함으로써 독립운동과 친일부역행위의 의미를 제대로 다루지 않은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독재와 친일을 미화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경기지역 학부모와 교원 등으로 구성된 교육시민단체인 경기교육희망네트워크는 "국정교과서는 박정희 정부가 1964년 맺은 '한일 협정'이 경제 발전의 토대가 됐다고 둔갑시켰고,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매우 의욕적인 계획'이라고 미화하기도 했다"고 분석했다.

광주와 전남 지역 정당과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박근혜 퇴진 광주시민운동본부'도 "국정 교과서는 친일파를 건국 공로자로 역사 세탁했다"며 "5·16 군사쿠데타를 '근대화 혁명'으로, 박정희를 '경제 발전과 산업화의 아버지'로 미화하는 등 왜곡을 넘어 대통령 가정사를 미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됐다"고 비판했다.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울산시민대책위원회는 논평에서 "공개된 교과서는 '친일파'란 단어를 삭제하고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을 지나치게 미화해 편향된 역사관을 서술했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국정 역사교과서가 비공개로 추진된 점과 집필진의 전문성 등 절차적인 문제도 제기했다.

경상남도 역사교사 모임과 관련 학계 관계자 10여명은 경남교육청 주최로 창원시 창동 어울림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대한민국 건국 관련 중대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역사학계 의견 수렴과 집필 기준을 공개하고 공청회·토론회를 거쳐야 하는데도 비공개로 추진됐다"며 국정교과서를 인정할 수 없다고 의견을 모았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집필진 상당수가 뉴라이트 계열이거나 뉴라이트와 학술적 입장을 공유하는 인사들"이라며 "특히 현대사 집필진 중 사학 전공자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드러나 비전공자까지 동원해 극우 편향 교과서를 만들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5·18 민주화운동과 4·3사건에 대한 사실 왜곡 문제도 제기됐다.

5·18기념재단측은 28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계엄군이 전남대를 폐쇄하고 등교하는 학생을 때리며 시위를 유발했는데 교과서는 학생들이 시위하니까 군부가 계엄군을 광주에 투입했다는 식으로 사실관계를 바꿔 놓았다"며 "명백한 왜곡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시민수습위가 군부와 협상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기존에 보지 못한 새로운 기술방법이 등장했다"며 "평화를 원하는 시민과 강경한 군이 대등한 위치에서 협상한 것처럼 오해하도록 서술한 것은 교묘한 방법의 왜곡이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은 "특별법 제정으로 이미 1만4천여명의 유족 신고가 이뤄지고 국가추념일이 지정된 사실에 대한 서술은 어디서도 보이지 않고, 4·3의 원인이 마치 남로당의 봉기에 의한 것으로만 적시되는 등 객관적 서술을 가장한 왜곡을 자행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