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948년 대한민국 수립'?…"친일 미화" 반발

<앵커>

지금 보시는 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이 주도한 대한민국 정부수립 기념식 장면입니다. 이날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에 따라서 역사학계의 시각이 크게 갈리는데, 이번에 발표된 국정교과서는 이날을 대한민국이라는 국가가 완성된 때로 봐서 '대한민국 수립'이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술은,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을 대한민국의 시작으로 봐야 한다는 대다수 학설과 배치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노유진 기자가 이번 국정 교과서의 쟁점들을 정리했습니다.

<기자>

기존 검정 교과서들은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국정교과서는 여기서 '정부'라는 단어를 뺐습니다.

좁은 개념의 정부 수립보다는 국가가 완성됐다는 의미의 '대한민국 수립'이라고 쓰는 게 바람직하다는 겁니다.

[김정배/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임시정부의 훌륭한 유산과 그 숭고한 뜻은 1948년 8월 15일 이 나라 이 땅에서 거행된 대한민국 수립에 그대로 계승되었습니다.]

진보 사학자들은 이 부분을 문제 삼습니다.

임시정부를 계승했다면, 당연히 임시정부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활동을 시작한 1919년을 대한민국의 시작으로 봐야 한다는 겁니다.

1948년을 건국으로 기념하게 되면 독립운동보다, 건국에 관여한 일부 친일파의 역할이 조명받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주진오 교수/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 : 1948년에 가서야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고 하는 것이니까. 그렇다면 그 이전에 오랜 세월 동안에 이뤄져 왔던 독립운동의 역사는 과연 무엇이 되는가, 무엇을 위한 역사인가.]

각계에서 반대 목소리도 터져 나왔습니다.

광복회는 실망과 분노를 느낀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교육감들은 국정 교과서의 검토 자체를 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최준식·최대웅, 영상편집 : 이승희)  

▶ [비디오머그] 국정교과서 집필진, 현대사 역사 전문가 0명…이유는?!
▶ 국정 역사교과서 공개…달라진 내용 살펴보니
▶ 내년 학생들 역사교과서 없다?…추후 일정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