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질서 있는 퇴진' 재부상…탄핵정국 변수 되나

<앵커>

국회팀 김정인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네, 안녕하세요.) 친박계에서는 명예퇴진, 또 한편으론 질서 있는 퇴진이란 표현도 씁니다만, 이게 원래는 야당 쪽에서 나왔다가, 들어갔다가 어제(27일) 다시 등장한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질서 있는 퇴진론은 이번 달 중순쯤에 야권에서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당시 청와대는 대통령 하야를 전제로 한 것이라면서 거부를 했는데요, 그런데 어제 전직 국회의장과 국무총리를 비롯해서 여야 정치권 원로들이 다시 화두를 던진 겁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는 내년 4월에 하야를 하고, 여야정치권은 거국내각 구성과 개헌, 그리고 대통령의 명예로운 퇴진을 추진하라는 거죠.

그런 데다가 지금 친박계 핵심 중진들까지 이런 움직임에 동참하면서 탄핵정국의 막판 변수가 될지 주목됩니다.

<앵커>

시간이 너무 촉박한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긴 하는데, 지금 와서 이 얘기가 다시 나온 이유는 뭡니까?

<기자>


이런 퇴진론이 제기되는 가장 큰 이유는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발생할 갈등과 예측 불가능성을 매우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이제 상황 반전이 어려우니 현실적인 선택을 하라. 하야하라.'는 압박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어쨌든 이건 박근혜 대통령의 생각에 전적으로 달려있는 것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퇴진 여부는 말씀하신 것처럼 대통령 결단에 달려 있는데 지금까지 아직 움직임은 없습니다.

더군다나 청와대는 우선 탄핵 절차를 지켜보겠다는 겁니다.

이번 사안이 법적으로 대통령직을 그만둘 만한 일인지 다퉈봐야 한다는 건데요, 일단, 실현 가능성이 낮은 거죠.

지금 탄핵을 추진하고 있는 야권도 자칫 이런 퇴진론이 탄핵의 동력을 떨어뜨리는 것은 아닌지 경계하고 있습니다.

<앵커>

일단 실현 가능성이 높진 않다, 이렇게 보고 있는 거죠. (그렇습니다.) 김정인 기자, 잘 들었습니다.  

▶ 탄핵 사유 "헌법 1조 위반"…'뇌물죄'엔 이견
▶ '김기춘-최순실' 관계 드러나나…커지는 의혹
▶ [단독] '우병우 관여' 핵심 증거 찾고도 제외한 검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